2023.03.31 (금)

  • 맑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3.6℃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4.7℃
  • 맑음대구 15.3℃
  • 맑음울산 12.8℃
  • 맑음광주 15.2℃
  • 맑음부산 14.7℃
  • 맑음고창 7.9℃
  • 맑음제주 14.5℃
  • 맑음강화 9.2℃
  • 맑음보은 11.4℃
  • 맑음금산 10.5℃
  • 맑음강진군 11.1℃
  • 맑음경주시 11.0℃
  • 맑음거제 15.0℃
기상청 제공

전문가 제언

전체기사 보기

왜 농자재도 바이오플라스틱 재료로 대체해야 하나?

[연재기고] 박형우 박사의 ‛바이오플라스틱’ 이야기①

지구온난화 때문이다. 우리는 지금 기후위기 시대에 살고 있다. 2005년 남부유럽에서 엄청난 사상자가 생긴 폭염과 가뭄, 인도에 닥친 1일 강우량 774mm의 집중호우, 미국 뉴올리언스를 습격한 허리케인 카트리나, 호주에 일어난 대형 산불, 일본에 내린 폭설, 태풍 그뿐 아니다. 중국의 사막화도 심각해져, 중국에서 시작된 황사현상으로 인해 주변국 역시 큰 고통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가 당해본 어떤 산불, 홍수, 가뭄보다 훨씬 심각한 상황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어 지구온난화를 단 한 발짝이라도 늦출 대안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계속 도출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지구온난화로 최근 30년 새 서울의 겨울 시작일은 11일 늦어지고, 겨울 지속기간은 17일이나 짧아진 것으로 집계되었다. 강원도와 양산의 화재는 80년 생애 가장 심각한 상황이었다는 주민들의 목소리, 축구장 면적의 9000배의 산이 타버렸고 이재민도 가옥피해도 심각한 수준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1970년대만 해도 11월 19일 시작했던 서울의 겨울은 1990년대 23일, 2000년대 30일 등으로 계속 늦어지는 추세다. 겨울 지속기간도 1970년대 119일에서 2000년대 102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