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01 (토)

  • 맑음동두천 10.8℃
  • 맑음강릉 11.4℃
  • 맑음서울 12.5℃
  • 맑음대전 12.1℃
  • 맑음대구 13.0℃
  • 맑음울산 10.6℃
  • 맑음광주 13.4℃
  • 맑음부산 13.8℃
  • 맑음고창 6.7℃
  • 맑음제주 13.8℃
  • 맑음강화 7.1℃
  • 맑음보은 9.1℃
  • 맑음금산 9.1℃
  • 맑음강진군 9.0℃
  • 구름조금경주시 8.6℃
  • 맑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친환경

전체기사 보기

과수 개화기, 반복되는 저온·냉해 피해 우려

천지바이오, 저온 피해 예방 솔루션 ‘허니비’·‘매직큐’ 추천 허니비, 내한성 키워주고 개화 증진·수정 결실률 높인다 매직큐, 저온·냉해 피해 경감하고 회복시키는 기능성 자재

최근 농업기상 자료를 살펴보면 최근 1개월 기온은 4.7℃로 평년(3.0)보다 1.7℃ 높았고 강수량은 20.4㎜로 평년(48.2)보다 27.8㎜ 적었다고 발표했다. 앞으로도 기온은 평년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수준이라고 하는데, 과수 등의 조기 개화에 따른 저온장애가 우려되고 있다. 과수개화기는 3월 매실을 시작으로, 4월 배, 복숭아, 사과, 5월 포도, 6월 대추 순으로 개화기가 이어진다. 매년, 과수 개화기에 저온 및 큰 일교차, 늦서리로 인해 저온 및 냉해 피해가 발생하여 과수 재배 농가들을 힘들게 하고 있는데, 저온 및 냉해 피해가 발생하면 꽃눈이 얼어버리기 때문에 심각한 품질저하와 수량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저온·냉해 피해는 여러 가지 복합적 원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개화기 평균 기온 상승으로 화아분화를 촉진시켜 개화시기를 당기는 것이 가장 큰 요인이라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개화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봄철 저온과 갑작스레 찾아오는 꽃샘추위, 그리고 늦서리에 꽃이 얼어버리는 피해가 발행하는 것이다. 과수 개화기 저온·냉해 피해는 꽃이 0℃ 이하로 30분만 노출되어도 발생하는데, 암술이 피해를 받게 되면 씨방까지 까맣게 고사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