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01 (토)

  • 맑음동두천 12.0℃
  • 맑음강릉 12.4℃
  • 맑음서울 13.1℃
  • 맑음대전 13.5℃
  • 맑음대구 13.9℃
  • 맑음울산 11.5℃
  • 맑음광주 14.5℃
  • 맑음부산 13.9℃
  • 맑음고창 6.8℃
  • 맑음제주 14.0℃
  • 맑음강화 7.6℃
  • 맑음보은 10.2℃
  • 맑음금산 9.3℃
  • 맑음강진군 10.6℃
  • 맑음경주시 9.6℃
  • 맑음거제 13.2℃
기상청 제공

강창용 칼럼

전체기사 보기

긴 호흡이 필요한 스마트농업 정책

스마트농업은 긴 호흡으로 밀고 가야 할 과제이며 길이다. 스마트팜 도입에 가장 큰 걸림돌은 적지 않은 도입 비용, 고도의 경영·기술적 정보와 지식 습득, 적정 가격에 의한 생산물 판매라는 점 등이다. 이는 국내외 모두에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차분하게 내·외부적인 여러 요소들을 잘 정리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자세와 대응이 필요하다.

언제부터인가 스마트라는 용어가 자주 쓰이고 있고, 의미하는 영역은 광범위하다. “스마트하다”라고 말하는 경우 좋은 의미로만 연상되고 생각하기 십상이다. 전략적이고 깔끔하다는, 영리하고 때론 교활하면서도 지혜롭다는, 빠른 사고와 적응력으로 스스로 어려운 일들도 잘 헤쳐 나간다는 뜻까지 포괄한다. 영어의 뜻으로 갑작스런 고통이나 무례함 등의 뜻도 있다고는 하나 그런 의미로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미래 농업 내지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적 혁신농업을 말할 때 스마트농업이 회자된다. 사실 정부에서는 2018년 관계부처 합동으로 ‘스마트농업 확산방안’을 만들어 공개하였다. 국가 차원의 검토와 발표이다 보니 매우 중요한 미래 농업정책을 담고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실제 여기에 담긴 주요 내용들은 지금까지 여러 방법으로 시행되어지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어느 특정한 농업정책을 마련하고 발표하는 것은 많지 않다. 관계부처가 모두 모여서 숙의하고 그 결과를 담아서 발표했다는 것은 사안이 가지는 중요성이 매우 커서 해당부처의 일만이 아니라는, 그래서 국가적 차원에서 정책을 마련하고 지원하겠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한마디로 스마트농업 정책의 마련과 시행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