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01 (일)

  • 맑음동두천 14.6℃
  • 구름많음강릉 18.4℃
  • 맑음서울 17.1℃
  • 구름조금대전 17.0℃
  • 맑음대구 18.6℃
  • 맑음울산 17.9℃
  • 구름조금광주 19.0℃
  • 맑음부산 19.5℃
  • 구름조금고창 15.9℃
  • 구름많음제주 20.9℃
  • 맑음강화 15.0℃
  • 구름많음보은 16.0℃
  • 구름조금금산 15.3℃
  • 맑음강진군 17.1℃
  • 맑음경주시 15.3℃
  • 구름많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강창용 칼럼

전체기사 보기

스마트농업-정보와 활용지원을 정부에서 해야 한다

정부는 현장, 농촌진흥청과 각 대학, 연구기관에서 생성된 데이터와 정보를 통합적으로 연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스마트농업은 정밀농업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빅데이터와 활용이 필수이다. 분산된 데이터와 정보를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다음, 스마트농업의 생산과 경영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정부가 원하는 스마트농업이 발전할 것이다. 정부의 강력한 통합관리를 요청한다.

스마트농업 내지는 스마트팜을 설명, 홍보하는 동영상이나 사진을 보면 정말 대단하다. 미래농업의 성장을 이끌 것이고, 식량문제와 함께 다양한 농업의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는 기대가 덧붙여진다. 멋진 유리온실 내에서 풍성하고 먹음직스러운 농작물들이 자라고 있다. 원격자동화 관리시스템이 작동하여 내·외부 작물 환경을 최적의 상태가 되도록 각종 프로그램과 기자재가 움직인다. 여기에 젊은 농업인의 환한 얼굴은, 과장하면, 천국과 같다. 모든 마케팅이 그러하듯 멋지고 긍정적이고 효과적이라는 인상을 심어주는 것이 골자이다. 주름살이 깊게 패인 농민들의 환한 모습조차 풍성함과 편안함을 느끼도록 하는데 활용된다. 이면의 고통과 생활고는 감춰진다. 스마트농업 역시 홍보에서 그것을 위한 어려움, 부정적인 면, 현장에서 아주 제한적으로 성공적이라는 점은 일체 보여주지 않는다. 얼마나 많은 자본이 투입되는지, 기술적 완성을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과 공부가 필요한지, 정부의 보조지원이 없다면 사실상 성립이 쉽지 않다는 점도 말하지 않는다. 그것이 문제이다. ‘스마트농업의 생산과 경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답은 다양할 것이다. 사람이 하는 것이니 당연히 사람이 우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