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우바이오(대표이사 양현구)가 지난달 18일 전남 나주의 산포농협에서 농협경제지주 공판사업부, 산포농협, 대촌농협과 함께 국산 청양고추 신품종 ‘신미락’의 판매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신미락’ 풋고추는 NH농우바이오의 R&D 연구개발 기술로 개발한 국산 신미계 고추 신품종으로, 농협경제지주 공판사업부의 유통망을 기반으로 나주 산포와 광주 대촌지역에서 본격적으로 생산·보급될 예정이다. 타품종 대비 과색이 진하고 광택이 뛰어나 상품성이 높으며, 분지성(식물의 줄기에서 가지를 치는 성질)이 좋아 수량성이 우수하다. 또한 바이러스에 강한 내병성이 있어 농가 소득 안정과 국산 종자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협약식에는 양동완 농협경제지주 공판사업부장, 홍종호 가락공판장장, 정회영 산포농협 조합장, 이환형 대촌농협 조합장 및 NH농우바이오 여찬두 SM부문장 등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해 사업추진 전략, 신품종 보급 확대 및 농업인 지원 방안 등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해마다 농업인에게 피해를 주는 벼흰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 벼 품종 개발이 속도를 내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승돈)은 이달 23일 전라남도 보성군 현장 실증 재배지에서 보성군농업기술센터와 공동으로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벼 품종 중간 생육 평가회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벼 재배 농가와 시군농업기술센터, 국립종자원, 국립식량과학원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벼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K3a)를 보유한 ‘수광1’, ‘중원진미’, ‘참누리’ 생육 상태를 확인하고 기존 품종과의 발병 차이를 직접 비교, 관찰했다. 또한, 저항성 품종 조기 보급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식량원이 9월 11~12일 이틀간 남해안 지역을 조사한 결과, 일부 재배지에서 흰잎마름병 발생이 확인됐으며 병반면적률은 15~20%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히 K3a 병원성에 저항성이 없는 품종에서 피해가 큰 것으로 확인됐다. 벼흰잎마름병은 세균이 벼에 기생해 잎을 물결모양으로 하얗게 마르게 하는 병으로, 주로 이삭이 패기 전후로 발생한다. 여름철 이상고온 시에는 발생 시기가 빨라지고 발생률도 증가한다. 병이 확산하면 쌀 수량과 완전립 비율이 크게 낮아지며 식미도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