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5 (토)

  • 구름조금동두천 15.1℃
  • 흐림강릉 9.0℃
  • 구름많음서울 17.1℃
  • 구름조금대전 12.9℃
  • 흐림대구 8.9℃
  • 울산 7.1℃
  • 흐림광주 11.5℃
  • 부산 8.1℃
  • 구름많음고창 12.6℃
  • 제주 9.6℃
  • 구름많음강화 14.2℃
  • 구름많음보은 10.6℃
  • 흐림금산 10.0℃
  • 흐림강진군 ℃
  • 흐림경주시 7.8℃
  • 흐림거제 7.8℃
기상청 제공

기술

벼 흰잎마름병에 강한 ‘안백’ㆍ‘만백’ 개발

농진청, 광범위저항성으로 품질 우수…친환경 재배도 적합

농촌진흥청은 벼흰잎마름병에 강하고 품질이 우수한 고품질벼 ‘안백’과 ‘만백’을 개발했다.


벼흰잎마름병은 벼 잎의 상처를 통해 병원균이 침입하면서 하얗게 말라 죽는 병으로 충남 이남의 평야지대를 중심으로 해마다 상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1만686ha의 논에 피해가 발생했다.


최근에는 기존의 저항성 품종까지 피해를 줄 정도로 병원성이 강한 새로운 균주(K3a)가 발생해 문제가 되고 있다.


농진청은 이번에 개발한 ‘안백’과 ‘만백’은 벼흰잎마름병 저항성유전자 두 개(Xa3, xa5)가 집적돼 병원성이 강한 K3a 균주와 국내 다른 균주에 대해서도 광범위한 저항성을 나타낸다고 밝혔다.


‘안백’은 벼꽃 피는 시기가 8월 14일이고, ‘만백’은 8월 19일인 중만생종 품종이다. 쌀 수량은 ‘안백’이 10a 570kg, ‘만백’이 537kg이며 외관 품위가 맑고 깨끗하며 도정률이 높고 밥맛이 양호하다. 또한 줄무늬잎마름병과 수발아(이삭싹나기), 쓰러짐에 강해 재배안전성이 뛰어나다.


‘안백’과 ‘만백’은 신품종이용촉진사업 등 종자 생산 단계를 거쳐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