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발 500미터 고지대 경북 봉화군에 자리한 사과 과원에 봄볕이 가득하다. 이제 막 꽃눈을 틔우기 시작한 사과나무를 살펴보는 이병욱 회장(전국사과생산자협회 경북도지부)의 눈가에 미소가 감돌았다. “사과 따고부터 바로 다음 해를 준비했죠. 한 해 고생한 나무들에게 내가 보답해줄 차례거든요. 저는 직원이 3000명이 넘어요. 가장 큰 보답은 알맞은 토양을 조성해 주는 일입니다.” 이 회장은 품질 좋은 사과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젊었을 때는 국내외를 따지지 않고 사과 선진지를 찾았다. 습득한 기술에 자신의 경험을 더해 최고의 사과를 만들기 위한 발걸음을 멈추지 않았다. 2009년 경북농정대상을 받은 데 이어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하고 한국과수농협연합회가 주관한 ‘2017 대한민국 과일산업대전’ 대표과일 선발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진행한 대회에 출품한 164개 농산물 중 최고상을 받을 때의 감동은 40년 사과 인생에서 잊지 못할 순간이다. 이 회장은 사과 재배에 대해 밤을 세워도 모자랄 만큼 풍성한 이야기를 풀어내면서도 최고의 자리에 오른 비결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대신 지난 10년간 수없이 많은 현장교육을 하며 젊은 농업인
자연산이나 양식 가리지 않고 고급 패조류를 먹어치우는 바다의 해적 불가사리에 주목한 소년이 있었다. 어업 활동시 딸려 나와 선착장에 뒹구는 불가사리는 비용을 들여 소각 처리를 해야 하는 골칫거리였다. 양승찬 스타스테크 대표는 경기과학영재학교 시절 불가사리를 신소재로 활용하는 방안을 담은 논문을 썼다. 불가사리의 골편을 화학 처리하여 염화칼슘 성분 제설제의 대체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연구는 군대 시절 창업 콘테스트 출품을 통해 실제 사업으로 빛을 보게 됐다. 양 대표는 해외에서도 산호초 포식 등 불가사리로 인한 문제가 많다는 점에 주목했다. 국내외 피해액이 큰데도 불가사리를 활용한 제품은 없는 실정이었다. 글로벌 친환경 케미칼 개발·제조업체를 표방하는 스타스테크의 시작은 이렇게 별을 연상시키는 불가사리에서 시작됐다. 스타스테크는 해양폐기물 불가사리를 업사이클링하여 다양한 신소재 연구개발과 사업화를 하는 Star-Complex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가장 먼저 불가사리의 뼈에서 추출한 다공성 구조체를 활용한 친환경 제설제 ‘ECO-ST’가 탄생됐다. ‘ECO-ST’는 염화칼슘 제설제로 인한 아스팔트 손상, 차량 하부 부식, 식물 황화 현상 등의 문제를 해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