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3 (목)

  • 맑음동두천 9.1℃
  • 구름많음강릉 8.7℃
  • 맑음서울 11.3℃
  • 맑음대전 10.7℃
  • 구름조금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0.1℃
  • 구름조금광주 11.3℃
  • 구름조금부산 12.3℃
  • 구름조금고창 10.1℃
  • 구름조금제주 12.0℃
  • 맑음강화 9.7℃
  • 맑음보은 7.2℃
  • 맑음금산 9.3℃
  • 구름많음강진군 10.7℃
  • 구름많음경주시 10.3℃
  • 맑음거제 10.5℃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병충초(病蟲草) 바로알기!<12> 겹무늬병·복숭아혹진딧물·까마중

방제도감

작물별 병해충 및 잡초에 대한 세부 설명과 사진을 활용한 이해를 통해 올바른 적기 방제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연재 「방제도감-병충초(病蟲草) 바로알기!」 열 두번째 코너. 이번 호에서는 고추 겹무늬병과 매미목/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 가지과 잡초인 까마중에 대해 알아본다. 농촌진흥청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이고자 운영하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 중 농작물에 대한 다양한 병해충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병해충별 도감정보’ 자료를 인용했다.

 


발생환경=병원균은 종자 혹은 병든 부위에서 균사나 분생포자의 형태로 겨울을 지난 후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공기전염 한다. 고온다습한 시기의 노지재배에서 간혹 발생한다.


증상설명=잎에 주로 발생하며 처음에는 갈색의 작은 점무늬로 나타나고, 진전되면 암갈색의 부정형 겹무늬 병반으로 확대된다. 후에 병반들이 서로 융합하여 커지고 잎이 마른다.


방제방법=종자를 소독하거나 건전 종자를 사용한다. 생육을 건전하게 관리한다. 병든 식물체는 일찍 제거한다.



형태정보=무시충은 담녹색인 것과 담홍색인 것 2가지가 있다. 기온이 낮은 시기에는 담홍색의 개체가 많이 발생한다. 뿔관은 흑색이고, 중앙부가 약간 팽대되어 있다.

 

유시충은 담적갈색이고, 더듬이의 제3마디에 0~15개의 도형 감각기가 있다. 배의 면에는 각 마디에 흑색의 띠와 반문이 있고, 뿔관은 중앙부 뒤쪽이 팽대되어 있다. 2.0~2.5mm로서 녹색, 연한황색, 황갈색, 핑크색 등 체색변이가 심하다.


제3 배마디 등판부터 뿔관 밑부분까지 검은무늬로 덮여 있고, 무늬의 양쪽에 돌출부가 2개씩 있다. 뿔관은 황갈색이거나 거무스름한 갈색으로 원기둥 모양이다. 무시충은 1.8~2.5mm 정도로서 연한 황색, 녹황색, 녹색, 분홍색, 갈색 등을 띠지만 때로는 거무스름하게 보이는 것도 있다. 뿔관 중앙부가 약간 팽대하나 끝부분은 볼록한 편이며, 끝부분에 테두리와 테두리 띠가 있다.


생태정보=진딧물의 생활사는 다소 복잡하다. 알(겨울)-약충(1~4령)-성충의 3단계를 거치는 완전 생활환과 약충, 성충 2단계를 거치는 불완전 생활환으로 나뉜다. 복숭아혹진딧물은 완전 생활환을 하는 진딧물로 복숭아나무 겨울눈의 기부에서 월동을 한 진딧물 알은 3월 하순~4월 상순에 부화한다. 이때 부화한 충을 간모(幹母, stem mother)라고 하여 모두 암컷이며 단위생식으로 새끼를 낳는다.


5월 상.중순까지 2~3세대 경과 후 유시충 암컷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들이 여름기주인 고추 등으로 이동을 하여 10월 말까지 무시충을 낳는다. 11월 초가 되면 유시충 암컷과 수컷이 출현하여 겨울기주로 날아간다. 겨울기주에서 유시충 암컷은 무시충 유성 생식형 암컷을 낳아 이것과 수컷이 교미하여 겨울기주에 월동 알을 낳는다.
피해정보=주로 어린 잎에 발생하며, 발생 초기에는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새끼를 직접 낳기 때문에 증식 속도가 빠르고, 순식간에 큰 집단(colonies)을 형성한다. 가해방법은 식물체의 양분을 빨아먹어 잎이 오그라들고 생육이 저하되어 빨리 시들어 죽게 허거나, 항문을 통하여 배출되는 감로(甘露)로 인하여 그을음병을 유발하고 광합성을 저해한다. 또한 진딧물이 식물체에 구침을 삽입함으로 질병을 매개하는데 특히, 식물바이러스를 매개하여 많은 피해를 준다.


방제방법=진딧물은 비가 많이 오면 밀도가 떨어진다. 반대로 가뭄이 지속되면 다발생 할 가능성이 높다. 시설재배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비래해 오는 진딧물을 차단한다. 입제 농약을 정식할 때 구멍을 파고 0.5~2g씩 넣어주거나, 희석제를 살포한다.


약제살포 여부 결정은 진딧물 발생추이를 관찰하여 천적 발생이 없거나, 발생환경이 좋아 지속적으로 밀도 증가가 예상될 때 살포한다. 천적 발생이 많거나 발생환경이 좋지 않아 밀도증가가 멈출 때는 약제방제를 하지 않는다. 천적으로 콜레마니진디벌, 진디혹파리, 무당벌레, 풀잠자리, 꽃등에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콜레마니진디벌이 시설작물에서 널리 이용된다.


화학적 방제방법=월동난 밀도가 높을 때는 겨울에 기계유유제를 살포하거나, 발생 초기에 진딧물 전용 약제를 1회 살포한다. 6월 이후는 여름기주로 이동하여 피해가 없으며 각종 천적이 발생하므로 약제를 살포하지 않는 것이 좋다. 노지재배의 경우 유시충이 여름기주로 날아와 단위생식을 시작할 때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시설 내의 경우는 됫박벌레류, 꽃등애, 진디벌 등의 천적류를 방사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시험 단계에 있다.



형태=초장은 높이 30~60㎝.이고 줄기는 곧게 자라고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기 잎차례이고, 잎자루는 길이 1~4㎝, 잎새는 난형(卵形)으로 길이 3~7㎝, 폭 1.5~4.5㎝,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거나 파상(波狀) 또는 톱니가 약간 있다. 꽃자루는 마디와 마디 사이에 달리며, 3~10개의 꽃이 짧은 총상화서를 이룬다. 꽃은 백색이며 지름 6~7㎜, 작은 꽃자루는 길이 6~14㎜, 꽃받침 열편(裂片)은 5, 장타원형으로 끝이 둔두(鈍頭)이고 꽃잎보다 매우 짧다. 수술대와 암술대는 털이 있고, 꽃밥은 길이 2㎜이다. 열매는 구형, 지름 7~11㎜, 털이 없고 익으면 흑색이 되며 아래를 향해 매달린다. 근계는 주근을 형성한다.


생태=일년생 초본이며 꽃은 6~10월에 개화하고 7월부터 열매가 성숙한다. 전국 각처의 원야지 대개 밭이나 길가 초원에 흔히 자생한다.

 

서식지=주요 서식지는 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