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6 (수)

  • 맑음동두천 5.4℃
  • 맑음강릉 7.5℃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9.8℃
  • 맑음대구 13.3℃
  • 맑음울산 14.3℃
  • 맑음광주 9.6℃
  • 맑음부산 15.9℃
  • 맑음고창 4.5℃
  • 맑음제주 13.6℃
  • 맑음강화 5.8℃
  • 맑음보은 3.6℃
  • 맑음금산 4.6℃
  • 맑음강진군 8.2℃
  • 맑음경주시 13.4℃
  • 맑음거제 11.6℃
기상청 제공

Today News

습도 높은 6월 ‘인삼 잿빛곰팡이병’ 예방 철저

6월부터 곰팡이 번식체 날림 증가…날 습해지면 병 발생 늘어
같은 성분 약제 계속 쓰면 저항성 병원균 증가…교호살포 필수

농촌진흥청은 습도가 높은 6월에 인삼 잿빛곰팡이병 피해가 발생하기 쉽다며 철저한 예방과 방제를 당부했다.

 

잿빛곰팡이병 병원균(Botrytis cinerea)은 인삼의 잎, 줄기, 열매, 뿌리 등 모든 조직에서 병을 일으키는 균이다. 6월부터 번식체(포자) 날림(비산)이 증가하고, 특히 집중 호우와 장마 등으로 날이 습해지면 병 발생이 증가한다.

 

잿빛곰팡이병에 걸린 인삼은 잎 가장자리부터 회색의 물에 젖은 듯한 반점이 생긴다. 열매에 병이 발생하면 종자 생산이 어려워지고, 줄기를 통한 감염으로 뿌리가 썩기도(뇌두썩음증상) 한다.

 

잿빛곰팡이병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해마다 같은 성분의 화학 약제를 사용할 경우, 이 화학 약제에 저항하는 ‘저항성 병원균’이 증가하면서 방제 효과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농진청 인삼과에서 지역별 3~4곳 재배지의 4년생 인삼을 대상으로 잿빛곰팡이 병원균을 수집해 분석한 결과, 지역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시아노피롤계(Fludioxonil) 저항성 병원균은 3.3~5.3%, 하이드록시아니라이드계(Fenhexamid) 저항성 병원균은 39.3~55.0%, 아닐라이드계(Boscalid) 저항성 병원균은 50.0~80.0%가 검출됐다.

 

따라서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작용 원리(기작)가 다른 약제를 번갈아 사용하고, 재배 기간에 따라서도 다른 약제를 사용해야 한다.

 

인삼에 등록된 약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psis.rda.go.kr/psis/, 농약정보 → 농약검색)’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농진청은 약제 저항성 병원균 발생을 줄이고자 지난해 기존 약제(플루디옥소닐, 펜헥사미드, 플루퀸코나졸, 피리메타닐, 피라클고스트로빈)와 함께 쓸 수 있는 병원균 억제 미생물(Pseudomonas putida PgBE89)을 개발, 적용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김동휘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과장은 “인삼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려면 장마와 집중 호우 등 기상예보를 확인해 잿빛곰팡이병을 미리 방제, 관리해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