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현장에서 스마트 팜 보급이 차질 없이 진행 중이며, 농업인 교육 및 홍보, 표준모델 개발을 통한 보급단가 인하, 품질보증제 도입을 통한 사후관리 강화, 관련 기업과의 협력 등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이동필 농식품부 장관은 ‘스마트 팜 확산 성과 상반기 점검회의’를 개최해 지난 4월 발표한 ‘스마트 팜 확산 가속화 대책’의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는 농촌진흥청,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농협 등 유관기관과 경상남도, 진주시 등 지방자치단체가 참석해 관련 업무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이와 함께 스마트 팜 선도농가 및 관련 기업,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해 현장의 애로사항 및 건의사항을 전달했다.
상반기 농업인 2430명 스마트팜 교육 실시
스마트 팜 확산 성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올해 신규 도입된 시설원예 수출전문 스마트 팜 신축사업이 사업물량 대비 수요가 2배 수준으로 많아, 현장 조사 및 전문가 평가를 거쳐 7월 중 대상자를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사업규모는 16ha에 100억원의 예산이 배정돼 있다.
축산 분야는 2015년 양돈ㆍ양계에서 2016년 젖소ㆍ한우까지 스마트 팜 적용 축종을 확대한 결과, 이미 예비신청 농가 수가 291호로 올해 보급 목표인 200호를 초과하는 등 현장의 관심이 뜨거운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팜을 도입한 농가가 시설을 100% 활용해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전문 교육과정도 대폭 확충했다. 2015년에 스마트 팜 첨단기술 공동실습장을 지정(ATEC, JATC, 천안연암대)한 이후, 올해 처음으로 720명에게 첨단 실습교육을 실시했으며 실습장 당 국비 약1억원이 지원됐다.
ICT 등 신기술에 대한 수요가 높은 젊은 후계농 대상 스마트 팜 교육과정을 신설하고, 교육을 조기에 개시해 올해 상반기에만 농업인 및 예비농업인 2430명에게 스마트 팜 교육을 실시했다.[도표]
SKT, KT 정보통신기업과 협력…데이터요금 면제
농식품부는 스마트 팜 도입을 희망하는 농업인과 도입 초기 농업인들이 자신의 상황에 맞는 스마트 팜을 도입해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품목ㆍ시설수준ㆍ규모별 65개 스마트 팜 선도모델을 발굴하고 11개로 유형화하여 공개하고 있다.
스마트 팜 대표 홈페이지(www.smartfarmkorea.net)에서 시설원예 7, 과수 1, 축산 3 등 11가지 유형화된 선도모델을 e-book 형태로 게시하고 있다. 또한 SKT, KT 등 정보통신기업과 협력해 스마트 팜 도입 농가의 데이터 요금을 2년간 면제하기로 했으며, 별도의 스마트 팜 전문 교육장 운영도 준비 중이다. SKT는 지난 5월부터 세종 창조마을 내에 교육·홍보를 위한 두레농장 운영을 시작했으며, KT는 품목 주산지 및 귀농인 교육을 위해 서울, 용인, 담양, 부여, 성주 지자체 농업기술센터에 실습교육장 5개소를 조성해 오는 7월 출범시킬 계획이다.
스마트 팜 표준모델 개발을 통한 보급단가 인하
스마트 팜 주요 기자재를 표준화하고 시설원예 분야의 한국형 스마트 팜 표준모델을 개발해 품질 좋은 스마트 팜을 값싸게 공급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또한 온ㆍ습도, CO2 등 스마트 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센서기 13종에 대한 단체표준을 등록해 제품간 호환성을 높이고 부품교환 등 사후관리의 편의성도 향상시켰다.
단동형ㆍ연동형 비닐온실 스마트 팜 표준모델 플랫폼은 민간 기업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되며, 불필요한 시설을 단순화해 보급단가도 인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원격관제, 보온, 환기 등 기본 기능을 갖추고 농가 수요에 따라 관수, 난방 등 부가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할 계획이다. 기자재 모듈화, 센서 등 부품 설치를 최소화ㆍ효율화 해 연동형 온실 기준 설치비용을 3300㎡당 2000만원에서 1400만원 수준으로 절감시킨다는 목표다.
품질보증제 도입…농기계조합 2년간 A/S 보증
올해 농식품부는 시설원예 분야 스마트 팜 보급사업에 품질보증제도를 도입해 기업의 책임성을 강화하고, 스마트 팜 통합 콜센터(1522-2911) 및 불만제로 SNS 밴드를 개설해 농가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A/S 등 사후관리 서비스를 개선했다. 농기계조합에서 2년간(무상 1년, 유상 1년) A/S를 보증하고, 도산 등으로 A/S가 불가능한 경우 타업체에서 A/S를 실시하도록 연계했다.
농식품부는 올 하반기에 유관기관 및 지자체의 스마트 팜 관련 역량을 결집하고, 남아 있는 과제들도 차질 없이 추진해 확산성과를 더욱 내실화하며 농가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농업인의 초기 시설투자 부담 완화를 위해 스마트 팜 전문 모태펀드 등 새로 도입한 민간투자 유치방안은 아직 현장 수요자들의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관련 제도들을 통합 홍보해 농업인들이 다양한 투자유치 방법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자신에게 적합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기업·연구기관과 빅데이터 공동 활용
더불어 빅데이터 기반의 최적 SW 개발을 위해 농정원·농진청에서 보유한 선도농가 생육ㆍ환경ㆍ경영정보와 품목별 영농기술, 병충해 DB 등을 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과 공유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농정원 정보공유를 위한 Open API가 개발됐으며 7월부터 서비스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 팜 외연 확대를 위해 인삼, 대파 등 노지 밭작물 스마트 팜 모델 개발에 집중하고, 식물공장의 경제성 분석 및 비즈니스 모델개발 연구도 연내 마무리할 계획이다.
또한 농업인들이 스마트 팜 선도모델, 관련 지원사업, 교육일정, 기업 정보 등을 더욱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스마트 팜 대표 홈페이지 활성화, 선도농가 사례집(책자), 카드 뉴스, SNS, 박람회 등 다양한 홍보수단을 활용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