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별 병해충 및 잡초에 대한 세부 설명과 사진을 활용한 이해를 통해 올바른 적기 방제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연재 「방제도감-병충초(病蟲草) 바로알기!」 열 세번째 코너. 이번 호에서는 상추 균핵병과 파리목/굴파리과 아메리카잎굴파리, 마디풀과 잡초인 봄여뀌에 대해 알아본다. 농촌진흥청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이고자 운영하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 중 농작물에 대한 다양한 병해충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병해충별 도감정보’ 자료를 인용했다.
발생환경=병원균은 병든 식물체의 조직 및 토양 내에서 균핵의 형태로 겨울을 지내거나 감염된 식물체내에서 균사상태로 겨울을 지낸 다음, 발아하여 자낭반과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자낭포자는 식물체의 약한 부위에 부착하여 침입하며, 균핵 및 균사체로부터 발아하여 뻗어 나온 균사가 식물체를 직접 침해하기도 한다. 습도가 높고, 기온이 15~25℃의 서늘한 상태에서 병 발생이 심하다.
증상설명=처음에는 식물체의 지제부가 담갈색으로 물러 썩고, 진전되면 흰 균사가 자라면서 그루 전체가 썩는다. 후에 감염 부위에는 부정형의 검고 큰 균핵이 형성되거나, 구형 내지 부정형의 검고 작은 균핵이 형성되기도 한다.
방제방법=병든 식물체는 그 주변의 흙과 함께 일찍 뽑아내어 땅속 깊이 파묻는다. 시설재배 포장에서는 저온, 다습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정식 후 비닐을 멀칭하여 재배하면 멀칭하지 않은 재배에 비해 병 발생 억제 효과가 있다. 담수가 가능한 곳에서는 여름철 장마기에 담수하여 균핵을 부패시킨다. 발병 초기에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분포정보=전국이다.
형태정보=아메리카잎굴파리 유충은 구더기 모양으로 몸길이가 1.9~2.1㎜로 황색이며, 번데기는 장타원형으로 길이는 1.3~2.3㎜로 황갈색이다. 성충은 작은 파리 모양이며 날개가 있다. 암컷 성충은 수컷보다 약간 크고 배끝에 잘 발달된 산란관을 가진다. 몸길이는 2~3㎜정도로 몸색깔은 노랑과 검정이 조합되어 있고, 가슴 등판은 검정색이다. 알은 0.2~0.3㎜로 약간 투명하다. 유충은 황색 또는 담갈색이다. 번데기는 2mm 정도로서 갈색을 띤다.
생태정보=성충은 300~400개를 산란하며, 알은 대부분 잎의 앞면에 산란하지만 뒷면에 산란하는 경우도 있다. 알부터 성충까지 발육기간은 15℃에서 47~58일, 20℃에서 23~28일, 25℃에서 14~15일, 30℃에서 11~13일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모든 기주에서 발육기간이 급격하게 짧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발육영점온도는 알 7℃, 유충 8℃, 번데기 10℃이며, 발육상한 온도는 약 35℃로 추정된다.우리나라에서는 1994년 1월 전남 광주 광산구 거베라 하우스에서 최초 발견되었으며, 유럽으로 부터 화훼류 수입 시 침입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에서 노지 월동 여부는 불확실하나, 시설에서는 휴면없이 연중 발생하므로 15회 이상 발생할 수 있다. 예찰은 황색끈끈이트랩을 이용하여 예찰할 수 있다.
피해정보=유충은 잎속에 구불구불한 굴(터널)을 뚫어 가해하며, 성충은 잎에 붙어 즙을 핥아먹거나 산란하여 잎에 작은 반점을 남기는 피해를 준다. 피해는 국화과(국화, 상추), 가지과(가지, 토마토), 박과(수박, 오이, 참외, 호박, 멜론), 미나리과(셀러리), 쥐손이풀과(게베라) 등에서 나타난다. 유충이 엽육 속에서 굴을 파고 다니면서 가해하며 피해 흔적이 흰색으로 보인다. 초기 피해는 불규칙하게 도로가 난 모양이나 심하면 잎 전체가 갈색으로 말라 죽는다.
방제방법=시설재배지에서는 방충망을 설치하여 성충의 유입을 차단시킨다. 유충의 피해가 없는 건전한 묘를 정식한다. 천적으로 기생벌인 굴파리좀벌, 잎굴파리고치벌이 있다. 이 해충은 잎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생육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과실에는 직접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피해가 직접 손실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심한 발생이 염려되는경우를 제외하고 농약사용은 신중히 해야한다. 경제적피해허용수준을 고려하여 약제방제를 한다.
형태=높이는 20~60㎝이다. 줄기는 밑부분이 비스듬히 서며 연모(軟毛)가 있고 홍자(紅紫)색이 돈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해진다. 밑부분이 좁고 깊이 6~12㎝, 너비 1~3㎝로 양면에 털이 퍼져나며 흔히 가운데 부분에 흑색반점(黑色斑點)이 있다.
엽병(葉柄)은 짧고 초상의 탁엽(托葉)은 길이 3~10㎜이며 막질이고 녹모(鹿毛)는 길이 1~2㎜이다. 꽃은 연한 홍자색이고 수상화서(穗狀花序)에 달리며 화수(花穗)는 길이 3~5㎝이고 곧게 선다. 화경(花梗)에 때로는 짧은 대가 있는 선모(腺毛)가 있고 길이 2.5~3㎜의 화피는 대개 5개로 갈라지며 맥(脈)이 뚜렷하다. 종자의 수과(瘦果)는 편평한 난상 원형이고 세모가 지며 흑갈색으로 길이 2㎜정도로 윤채(潤彩)가 있다. 근계는 주근을 형성한다.
생태=일년생 초본이며 5~10월에 꽃이 피고 9~10월에 열매가 성숙된다. 전국 각처의 원야(原野), 밭 근처 등지에 자생한다.
서식지=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