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7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7℃
  • 흐림강릉 29.5℃
  • 흐림서울 30.3℃
  • 흐림대전 27.3℃
  • 흐림대구 25.9℃
  • 흐림울산 22.8℃
  • 흐림광주 23.4℃
  • 흐림부산 22.9℃
  • 흐림고창 24.0℃
  • 제주 22.9℃
  • 구름많음강화 26.9℃
  • 흐림보은 25.3℃
  • 흐림금산 26.2℃
  • 흐림강진군 20.4℃
  • 흐림경주시 25.1℃
  • 흐림거제 20.2℃
기상청 제공

Today News

여름 호우·강풍 대비, 농작물·농업시설물 미리 관리하세요!

배수로 정비 필수…경사진 재배지, 토양 유실 예방 조치
비닐 온실·축사, 전기 시설 점검·빗물 새는 곳 즉시 보수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6월 하순부터 7월 중하순까지 집중호우, 강풍 등 여름철 기상재해로 인한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사전 관리를 당부했다.

 

△벼= 논 배수로가 수초, 쌓인 흙(퇴적토), 폐비닐 등으로 막혀있는지 살피고, 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정비한다. 이른 모내기로 새끼치기(분얼)가 끝난 벼는 논물을 빼 뿌리 활력을 촉진한다. 뿌리 활력이 증대된 벼는 강풍으로 쓰러지는 피해를 줄일 수 있다.

 

7월 중·하순 무렵 이삭거름을 줄 때는 질소비료 양을 20∼30%가량 줄이고, 칼륨질 비료를 20∼30%가량 더 주면 병해충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노지 밭작물= 밭고랑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깊게 파서 물길을 확보한다. 비바람에 쓰러질 우려가 있는 작물은 개별 지주를 보강하거나 줄 지주를 추가 설치한다. 세균성 병원균과 해충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비가 오기 전에 작물별로 알맞게 약제 방제한다.

 

△과수원= 과수원 바닥에 목초, 녹비 등을 심어 초생재배를 하는 곳은 물이 잘 빠질 수 있도록 풀을 베고 물길을 낸다. 경사지 또는 새로 조성한 과수원은 폭우에 바닥 흙이 쓸려 내려갈 수 있으므로 짚, 비닐, 풀 등을 덮어 조치한다.

 

탄저병 등 병해 예방을 위해 전문 약제로 방제작업을 한다. 다만 작물의 생육 상태가 좋지 않거나 과도하게 약제를 주면 생육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인삼= 비가 오기 전 배수로를 정비한다. 두둑 길이가 너무 길면 장마 동안 배수 불량으로 침수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두둑 길이는 15∼20칸(27∼36m)으로 늘리고, 두둑 높이(30cm 이상)도 올린다. 해가림 시설은 빗물을 막아주는 역할도 하므로 팽팽하게 당겨주고 경사 각도(24°)를 확인한다.

 

△시설 온실·축사= 빗물이 시설 온실과 축사 안으로 흘러들어오지 않도록 주변 배수로를 정비한다. 필요할 경우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모래주머니, 양수기 등 수방 자재를 확보한다.

 

전기 시설이 설치된 곳은 내외부 전선 피복 상태를 점검하고, 사용하지 않는 전기 기구의 플러그는 뽑아둔다. 전기 기계·기구의 접지 시설을 확인해 감전 사고를 방지한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현재 전국 75개 시군 농업인을 대상으로 농장 단위 기상 정보와 작물별 재해 예측 정보를 휴대전화 알림 문자 등으로 제공하는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https://agmet.kr)’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도 농업기술원, 시군농업기술센터와 공동으로 여름철 기상재해 대비농작물 및 농업시설물의 안전 관리 요령 안내문을 배부했다. 안전 관리 요령은 농업기술포털 ‘농사로’ 누리집에서 내려받아 볼 수 있다.

 

채의석 농진청 재해대응과장은 “올 7월에는 장마전선(정체전선) 영향으로 국지성 집중호우가 예상됨에 따라 농작물과 농업시설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적극적인 사전 관리를 당부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