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에 속했던 농기자재정책팀이 창조농식품정책관 소속으로 해당 국을 옮겼다. 연구개발(R&D), 정보통신기술(ICT)과 연계해 농기계, 비료 등 농기자재산업을 수출유망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조치다.
정부는 새로운 정책수요에 부응하고 현장중심의 인력 보강을 위해 본부 및 소속기관의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이번 개편의 특징은 농식품부 본부의 경우 국·과간 유기적 연계를 강화하고, 반려동물 등 새로운 분야에 소요인력을 보강했다. 이에 따라 농촌정책국 안에 있던 경영인력과가 농업정책국으로, 농업정책국에 속했던 농가소득안정추진단이 식량정책관으로 자리바꿈을 했다. 또한 농림축산검역본부에 AI(조류인플루엔자)·구제역 현장대응 강화를 위한 인력과 함께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한국농수산대학, 국립종자원의 필요인력을 보강했다.
정부는 반려동물 보호 및 산업육성 등 새로운 정책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담당조직과 인력을 확충했다. 동물복지관련 법·제도적 기반을 보완하고, 반려동물 문화센터 운영 등 동물보호 및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축산정책국 방역관리과 내에 전담팀(신규 3명과 기존 2명)을 설치·운영한다. 농촌관광 인프라 조성 및 콘텐츠 개발 등을 추진하기 위한 인력(2명)과 기후변화·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인력(지진 1명, 가뭄 1명)을 보강하고, 농업관련 전시체험관 건립을 담당할 전담부서를 농촌정책국 내에 한시조직(3년, 신규 2명과 기존 3명)으로 신설한다.
농식품부 소속기관의 대폭적인 조직변동도 이뤄졌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가축질병·식물병해충에 대응해 AI(조류인플루엔자)·구제역 등 가축질병, 새로운 식물병해충 유입으로 인한 피해 최소화를 위해 현장대응 기구·인력을 강화했다. 기존에 한시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농림축산검역본부 조류인플루엔자예방통제센터를 정규조직으로 전환했다.
AI 상습발생지역인 서해안 벨트에 촘촘한 방역망 구축을 위해 충북·전남권역에 가축질병방역센터를 각 1개소씩 증설해 현행 5개에서 7개로 확대하고, 인력도 각 3명씩 총 6명으로 증원했다. 또한 오리엔탈 과실파리류 등 아열대 식물병해충 유입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제주도에 식물병해충예찰방제센터를 신설하는 등 식물병해충 예찰·방제 강화를 위한 인력도 5명으로 보강했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농정신뢰 제고를 위해 국내산 축산물이력제 거짓표시 등에 대한 지도·단속, 쌀직불제 부정수급 방지 관리 등을 위한 인력을 보강(7명)했다. 출생부터 도축·가공·판매까지 모든 단계의 이력정보를 소비자에게 알기 쉽게 제공하는 축산물이력제가 소고기(2009년 9월)에서 돼지고기(2014년 12월)까지로 확대됐고 쌀직불제를 포함한 각종 직불제의 이행점검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 일원화(2016년 1월)됨에 따른 소요 인력을 반영한 것이다.
한국농수산대학은 2017년 1학기부터 입학정원을 기존 390명에서 470명으로 확대함에 따라 늘어난 교육수요에 부응하고,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고할 수 있도록 교수·지원 인력을 증원(11명)하고, 농업의 미래성장산업화를 이끌 인재양성을 위한 중장기 발전전략 수립 등을 담당할 기획조정과를 기존 6명에 신규 1명을 더해 신설한다.
국립종자원은 1품종 異명칭 사용으로 종자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품종보호를 강화하고, 소송대응 등을 담당할 인력 1명을 보강한다.
김재수 장관은 “농식품부와 소속기관이 새로운 정책수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인력을 보충하고, 현장 중심으로 조직을 보강함으로써 정책성과를 내고 국민들에게 사랑받는 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