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5.30 (화)

  • 흐림동두천 26.1℃
  • 구름많음강릉 19.3℃
  • 구름많음서울 26.6℃
  • 구름조금대전 25.6℃
  • 구름많음대구 21.7℃
  • 울산 19.8℃
  • 흐림광주 22.4℃
  • 흐림부산 19.6℃
  • 구름많음고창 25.3℃
  • 흐림제주 23.6℃
  • 구름많음강화 24.3℃
  • 구름많음보은 22.1℃
  • 구름많음금산 24.3℃
  • 흐림강진군 21.4℃
  • 흐림경주시 19.3℃
  • 흐림거제 18.2℃
기상청 제공

포커스

전체기사 보기

바이오소재산업과 농업의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

김용렬 KREI 선임연구위원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

농업 분야의 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바이오산업, 바이오소재산업, 그린바이오산업과 농업의 연계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연구 보고가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한두봉)은 ‘바이오소재농업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바이오소재산업과 바이오소재농업의 선순환 생태계를 구축해 농업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김용렬 KREI 선임연구위원은 바이오소재산업의 국내외 현황 및 바이오소재농업의 국내 현황을 분석하고, 바이오산업의 성장이 바이오소재농업에 미치는 파급효과 및 관련 농업계의 요구사항 진단을 통해 바이오소재농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했다. 바이오소재산업은 크게 식품산업, 농산업, 의약소재산업, 향장산업으로 구분되며 식품산업에서는 건강기능식품, 농산업에서는 바이오 농약 및 비료, 의약소재산업에서는 바이오소재 의약품, 향장산업에서는 기능성 화장품이 해당된다. 글로벌 바이오소재산업 규모는 2020년 약 7765억달러에서 2024년 9903억달러로 연평균 6.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바이오소재 산업 규모는 2020년 기준 4조9000억원으로 2016년부터 연평균 10.5%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