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별 병해충 및 잡초에 대한 세부 설명과 사진을 활용한 이해를 통해 올바른 적기 방제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연재 「방제도감-병충초(病蟲草) 바로알기!」 아홉 번 째 코너. 이번호에서는 포도 탄저병과 박쥐나방, 비름과 잡초인 긴이삭비름에 대해 알아본다. 농촌진흥청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이고자 운영하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 중 농작물에 대한 다양한 병해충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병해충별 도감정보’ 자료를 인용했다.
발생환경=결과모지의 피층조직과 덩굴의 병환부에서 균사로 겨울을 보낸다. 5월에 겨울을 보낸 동병반에서 분생포자를 형성, 강우로 미숙과에 분산 전파되어, 착색기나 감산기(減酸期)까지 잠복했다가 성숙기에 발병한다. 생육온도는 7~37℃이고, 발병 적온은 28℃ 전후이다.
증상설명=성숙기 과일에 주로 발생한다. 발병 초기에는 담갈색의 작은 반점이 전면에 발생하고, 진전되면 적갈색, 원형반점이 점점 불규칙한 병반을 형성한다. 과면에는 분생자층인 소흑점을 형성하며 담홍색, 점질의 포자퇴를 형성한다. 때로는 병반에 윤문이 생긴다.
방제방법=발생정도는 포도원의 재배환경과 관리방법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따라서 철저한 포장관리와 더불어 약제살포에 주의를 기울인다. 비가림 시설은 방제에 매우 효과적이므로 비가림 시설을 한다. 빗물에 의해 전염되므로 늦어도 6월말 포도 알이 콩알만 한 크기 때까지 봉지 씌우기를 끝낸다. 밀식을 피하고 전정을 통해 나무 속까지 햇빛과 바람이 잘 통하도록 관리한다. 질소비료의 과다사용을 피하고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
겨울전정 시 병든 송이, 덩굴손 등을 제거하고 생육기에도 병든 과립은 발견하는 대로 솎아주거나 송이 째 따준다. 겨울을 보낸 병원균의 방제를 위해 포도나무 발아 전에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한다. 생육기의 약제살포는 발아 후부터 10~15일 간격으로 살포하되 7~8월의 비가 잦을 때에는 7~10일 간격으로 살포한다. 특히 개화 전 약제살포를 소홀히 하기 쉬운데 이때는 결과모지에서 표자가 형성되어 전파되는 시기이므로 약제를 살포하여 1차 전염을 막아 주어야 한다.
형태정보=성충의 날개 편 길이는 80~90mm이다. 담갈색으로 앞날개 중앙에 황갈색의 삼각형 무늬가 있고, 기부에 검은 띠가 있다. 다자란 유충은 55~60mm로서 흑갈색이며 각 마디마다 등면에 황갈색의 큰 경피판을 가지고 있다. 알의 직경은 0.6~0.8mm로서 산란 직후에는 유백색을 띠나 점차 갈색에서 검은색으로 짙어진다.
생태정보=1년에 1세대 또는 2년에 1세대 발생한다. 지표면에서 알로 월동하여 5월에 부화하고 어린 유충은 처음에는 연한 줄기 속을 먹다가 나무의 줄기나 가지로 이동하여 생활한다. 번데기 기간은 2~4주간이고 갱도(坑道) 안을 자유로이 이동하며, 우화기가 가까워지면 뚫고 들어간 구멍에 번데기의 반 정도를 내놓고 우화한다. 8월 하순~10월 상순에 우화한 성충은 박쥐처럼 저녁에 활발히 활동하며 날면서 많은 알을 땅에 산란한다. 산란수는 3000~8000개이며 때로는 1만개 이상 낳기도 한다. 예찰은 성충을 육안으로 직접 발견하기는 쉽지 않고, 유충의 발생을 조사한다. 유충은 땅에서 위로 20㎝이내에 집중 가해하므로 이 지점을 중심으로 피해 흔적을 찾아본다.
피해정보=부화유충이 주로 땅에 접한 표피를 둥글게 가해하고 목질부로 파고 들어가 피해를 준다. 가해하면서 배출한 배설물을 파고 들어간 구멍 입구에 붙여 놓고, 또한 피해를 받은 줄기는 잘 꺾어지므로 눈에 쉽게 띤다. 살아있는 식물은 물론 말라죽은 나무에도 뚫고 들어간 것을 볼 수 있다.
방제방법=유충이 줄기나 가지 속으로 들어가면 방제가 곤란하기 때문에 과원 내에 1차 기생식물인 잡초를 없애면 그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잔가지의 피해가 확인되면 전정하여 불태우고 큰 가지의 경우에는 먹어 들어간 구멍에 철사 등으로 포살한다.
형태정보=초장은 1~2m 내외이고 줄기는 가지를 많이 치며 거의 털이 없다. 잎은 아래쪽의 것은 길이 10㎝ 내외의 긴잎자루가 있으며, 잎사귀는 능상 난형이고 잎 끝은 중앙맥이 짧게 돌출된다. 꽃은 가지끝에 밀추화서가 생기며 화서의 길이는 20~50㎝, 폭 1~1.5㎝로 끝이 아래를 향하여 굽는다. 잎겨드랑이에서 생기는 화서는 없거나 있어도 짧다. 소포엽은 길이 3~6㎜이며 아래쪽 1/2~1/3이 양쪽에 백색 막질이 있고 끝은 가시로 변하여 만지면 통증을 느낀다. 암그루의 암꽃은 녹색이며 1개의 소포엽이 있고 5개의 화피는 주걱형이며 외화피는 길이 3~4㎜로 중앙맥이 돌출되어 끝이 뾰족하다. 내화피는 길이 2~2.5㎜로 끝에 돌출물이 없다. 수그루의 수꽃은 엷은 황록색으로 1개의 소포엽과 5개의 화피가 있으며 5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는 화피편보다 짧고 가로로 갈라지며 1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지름 1~1.3㎜로 암적갈색이다.
생태정보=꽃은 8~9월에 핀다. 서식지는 도로변과 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