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구름많음동두천 25.1℃
  • 맑음강릉 27.9℃
  • 구름많음서울 26.7℃
  • 맑음대전 25.2℃
  • 맑음대구 23.6℃
  • 맑음울산 24.9℃
  • 맑음광주 24.4℃
  • 구름조금부산 25.0℃
  • 맑음고창 25.0℃
  • 흐림제주 24.6℃
  • 구름조금강화 24.5℃
  • 맑음보은 21.6℃
  • 맑음금산 24.0℃
  • 구름조금강진군 24.0℃
  • 맑음경주시 24.6℃
  • 구름조금거제 23.8℃
기상청 제공

비료

요소비료·한우 퇴비·NBPT 함께 처리시 ‘경제·환경적 이점’

한우자조금, ‘한우퇴비 사용시 경작지 암모니아 배출원 규명 및 저감법 연구’ 결과 발표
요소비료 단일 사용시, 한우 퇴비 단일 사용 대비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 약 18배 높아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동활)가 ‘한우 퇴비 사용 시 경작지에서의 암모니아 배출원 규명 및 저감법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경작지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을 밝히고, 경작지 내 암모니아 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으며 박규현 강원대학교 교수가 수행했다. 


이번 연구 결과, 요소비료를 경작지에 시비할 경우, 처음 2일간은 암모니아 농도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나, 3일부터 암모니아 농도가 급상승하여 7일 이후부터 암모니아 배출 허용치 기준인 20ppm보다 약 6배가량 많이 발생했다. 

 


반면, 한우 퇴비는 처음 3일 정도까지는 일반적으로 토양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가스에 비해 1.8배 높은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했으나, 5일 이후부터 요소비료에 비해 월등히 낮은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했는데, 17일 이후부터는 일반적인 토양과 비슷한 수준의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요소비료와 한우 퇴비 간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비교한 결과, 경작지에 요소비료만 시비할 경우, 한우 퇴비만 시비하는 것보다 약 18배 많은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한우 퇴비와 요소비료를 혼합하는 경우, 요소비료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암모니아 농도가 낮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한우 퇴비로 인한 냄새 발생 피해가 심각하다는 통념과 크게 다른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울러 이번 연구에서는 한우 퇴비와 요소비료를 시비할 때, 추가적으로 암모니아 배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요소분해효소억제제(NBPT) 및 바이오차 시비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다.


‘한우 퇴비+요소비료+바이오차’의 경우, 시비 후 처음 3일간은 약 50%의 암모니아 배출량 감소 효과를 보였으나, 5일 이후부터는 ‘한우 퇴비+요소비료’를 시비한 경작지에 비해 2~7배 수준까지 암모니아 발생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우 퇴비+요소비료+요소분해효소억제제’를 경작지에 시비한 경우, 처음 3일간 약 56%의 암모니아 배출량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최종적으로 ‘한우퇴비+요소비료’를 시비한 경작지에 비해 약 22% 정도 암모니아 가스 배출량이 감소했다. [그림]

 

 
즉, 요소비료와 한우 퇴비를 함께 시비할 경우, 요소분해효소억제제를 같이 처리하면 토양 내 암모니아 발생을 억제하고, 장기간에 걸쳐 질소원을 토양 저장 및 공급함으로써 추가적인 요소비료 사용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경제적 및 환경적 측면에서도 이로운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