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09 (토)

  • 맑음동두천 -4.5℃
  • 구름조금강릉 -0.3℃
  • 맑음서울 -1.8℃
  • 맑음대전 -1.5℃
  • 맑음대구 0.7℃
  • 맑음울산 0.1℃
  • 맑음광주 0.3℃
  • 맑음부산 0.6℃
  • 맑음고창 -2.3℃
  • 구름많음제주 5.5℃
  • 맑음강화 -0.8℃
  • 맑음보은 -4.4℃
  • 맑음금산 -4.0℃
  • 맑음강진군 0.6℃
  • 맑음경주시 0.7℃
  • 맑음거제 1.8℃
기상청 제공

강창용 칼럼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자재정책을

이제 농업도 자연인 척하는 가면을 벗어야 할 때이다. 식량생산을 위한 행위라는 이유로 적당히 용인을 받아서는 안된다. 본래의 자연을 인류의 먹거리 생산과 생존을 위해 인위적으로 마구 파괴해도 된다는 인식과 마음을 바꿔야 한다. 농업의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해 왔다고 보는 각종 농기자재이지만 기후변화와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농기자재에 대한 생각도 혁신해야 한다.

 

우리나라 장기저탄소발전전략(LEDS:Long-term low greenhouse gas Emission Development Strategies)은 “지속가능한 녹색사회 실현을 위한 대한민국 2050 탄소중립 전략”이다. 2050년에는 탄소중립 국가를 지향한다는 것이다. 국제적인 상황과 대응추세를 보면 이것은 하나의 의무사항으로 보인다. 파리협정이후,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논의와 유럽의 그린딜 등을 종합해 볼 때 이보다 더 강력한 정부의 정책이 절실하다.

 

기후변화에 관련된 여러 논의 중에서 가장 안타까운 것은 기후학자들의 과학적인 견해가 그동안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묵살되거나 비난의 대상이 되어 진실한 면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점이다. 지구 곳곳에서 벌어지는 기후변화로 인한 사태를 목도하면서도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아니 받아들이지 않는 상황이 아직도 지속되고 있다. 1980년대 ‘지구의 종말’과 같은 끔찍한 용어가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러한 원인과 대응에 무감각해져 오고 있다.

 

기후변화에 관련하여 언론의 무관심적인 기후변화에 대한 회의적 시각 역시 지금의 기후문제를 심화시킨 면이 있다. 언론과 정보보도 매체들과 자본과의 결탁 문제를 일단 제외하고, 세상에서 벌어지는 기후변화로 인한 일부 동남아 섬들의 잠김 현상을 심각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그 원인과 미래 결과를 적나라하게 보도하지 않고 있다. 먼 나라의 사실이라는 듯 보도한다. 그것도 단발마적이다. 우리가 대면하고 있는 현상의 주범이 바로 우리 인류라는 점을 지적하는데 매우 주저하는 태도이다. 사실 우리 모두는 공범이 아닌가 여겨진다.

 

장기저탄소발전전략은 우리가 만든 기후변화에 대응한 저탄소 전략이다. 지금 우리가 대면하고 있고 미래에 봉착할 끔찍한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당장 화석연료 사용을 멈춰야 한다. 화학제품의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각종 자연파괴의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 최소한의 자연파괴와 생존을 위한 농산물 생산, 자연자원의 사용만이 이 사태를 획기적으로 막을 수 있다. 상당수의 기후학자들의 과학적인 지식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예측을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다면 당장 그리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이상적인 것으로 인정하는 기후변화의 원인과 대처방법을 그대로 실행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래서 유럽에서는 그린딜(2019년)이라는 행동강령을 만들어 연차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한꺼번에 모든 분야에서, 즉 지금의 에너지시스템을, 산업구조를, 수송과 건축을 일거에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야 할 길임을 받아들이고 가려고 노력하고 있으니 그나마 미래에 대한 좌절이 아닌 희망을 그릴 수 있을 것 같다.

 

‘농업은 자연이다’라는 인식이 오랫동안 우리 머리를 지배해 오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그것은 본래의 자연이 아닌 인간이 본래의 질서를 마음대로 휘저어 놓은 인간의 자연인데도 말이다. 그래서 자연적이라고 말하기도 어렵다. 지구 자연의 대부분은 인간의 욕구 충족을 위해 인간이 만들어 놓은 인위적인 조건일 뿐이다. 다양한 생태계는 이미 파괴되었다. 수십종의 동식물이 사라지고 있다는 보도에도 우리는 매우 둔감해 있다.

 

기술지원 넘어서는 기후스마트 농업 고심해야

이제 농업도 자연인 척하는 가면을 벗어야 할 때이다. 식량생산을 위한 어떠한 행위도 적당하게 용인을 받아서는 안된다. 본래의 자연을 인류의 먹거리 생산, 나아가 생존을 위해 인위적으로 마구 파괴해도 된다는 인식과 마음을 바꿔야 한다. 농업의 발전에 커다란 기여를 해 왔다고 보는 각종 농기자재이지만 기후변화와 많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농기자재에 대한 생각도 혁신해야 한다.

 

자연생태계를 파괴하는 각종 농약과 비료 사용의 자제가 필요하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을 장착한 농기계는 농지의 경도화와 표토유실의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이제부터라도 유기농의 확산과 함께, 윤작과 혼작, 화분매개곤충 삶 보장 등을 어느 정책보다 우선해야 한다. 기후변화 문제가 기술발전만으로 개선이 가능하다는 이야기는 허구이다. 물론 탄소중립으로 가는 과정에서 기술적 지원이 완전히 불필요하다는 것이 아니다. 기술만이 유일한 해답이라는 달콤함이 지금의 상황을 가져왔다는 점을 각성해야 한다. 늦었지만 기후변화에 대응한 기후스마트 농업, 더 구체적으로 탄소중립농업을 이루는데 농기자재정책도 부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