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6.8℃
  • 구름조금강릉 8.7℃
  • 구름많음서울 6.1℃
  • 대전 7.5℃
  • 구름많음대구 11.7℃
  • 구름많음울산 12.5℃
  • 구름많음광주 10.3℃
  • 구름조금부산 12.4℃
  • 구름많음고창 8.8℃
  • 구름많음제주 12.6℃
  • 구름많음강화 6.6℃
  • 구름많음보은 6.8℃
  • 구름많음금산 8.2℃
  • 구름많음강진군 11.8℃
  • 구름많음경주시 11.8℃
  • 구름많음거제 11.2℃
기상청 제공

친환경

배추좀나방, 이젠 미생물로 안전하게 방제

농진청, 이사리아 자바니카 FT337 균주 선발
약제저항성 높은 배추좀나방 80% 이상 방제

농촌진흥청은 배추과 작물에 문제가 되는 배추좀나방을 안전하게 방제할 수 있는 미생물인 이사리아 자바니카 FT337(Isaria javanica FT337) 균주를 선발했다고 밝혔다.


배추좀나방은 우리나라 채소 생산량의 50%를 차지하는 배추, , 케일 등 배추과 작물과 화훼 등 작물에 큰 손실을 일으키는 해충이다.


배추좀나방은 연중 10세대 이상 발생하며 발육 기간이 짧아 밀도증식이 빠르고 유기인계, 합성 피레스로이드계 등 36종 이상의 다양한 계통의 살충제 저항성이 보고돼 있어 방제가 어렵다.


이사리아 자바니카 FT337 균주는 해충에게만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곤충병원곰팡이로 국내 농경지 토양으로부터 선발한 미생물이다.


이 균주는 배추좀나방 애벌레의 표피를 뚫고 들어가 해충의 영양분을 고갈시키거나 독소를 퍼뜨려 해충을 죽게 만든다.


포장에서 이사리아 자바니카 FT337 균주를 배추좀나방 발육단계별로 처리했을 때 처리 4일 후 3령 이상 유충을 90% 이상 방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사리아 자바니카 FT337 균주를 배추좀나방 번데기에 처리한 경우 82.3%의 방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배추좀나방 알에 처리했을 때 부화가 억제되지는 않았지만 부화된 유충이 5일 후 94% 사멸했다.


농진청은 이사리아 자바니카 FT337균주 또는 이를 함유하는 배추좀나방 유충 방제용 미생물제제(10-2018-0159197)’의 특허출원을 완료했으며, 지속해서 연구해 실용화할 계획이다.


김남정 농진청 농업미생물과 과장은 이번 연구 성과로 약제저항성이 높아 방제가 어려웠던 배추좀나방을 안전하게 방제해 안전농산물 생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