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3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테마기획

[2018년 농약시장] 신제품 개발·등록 ‘후끈’

탁월한 방제효과·편의성 가미…생력화 신제품 ‘러시’
최근 10개월간 124품목 신규 등록…살충제 52품목
작물협회 정회원사 55품목…준회원사 70여품목
농켐·동방·경농 단연 선두…제네릭회사 동력 약화



올해 새로 출시됐거나 출시될 농약(1월말 현재)은 대략 120여 품목이 조금 넘을 것으로 보인다. 농약회사들은 올해 방제효과가 뛰어나고 반복사용에도 저항성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과 편의성을 강화한 생력화 제품을 ‘신제품’으로 출시해 농약시장의 주도권 확보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농약회사들이 2018년도 시장 공략을 위해 지난해 5월 이후 올해 1월까지 총 124개 품목의 등록을 마쳤다. 농촌진흥청과 한국작물보호협회의 농약등록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2018년 1월까지 지난 10여 개월 동안의 신규 등록 품목수는 살충제 52품목, 살균제 43품목, 제초제 21품목, 살충·살균 6품목, 생장조정제 2품목 등 총 124품목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표1] 



농약회사별로는 경농 15품목, 농협케미컬 7품목, 동방아그로 3품목, 신젠타 1품목, 팜한농 11품목, 한국삼공 3품목, 인바이오 10품목 등 작물보호협회 정회원사가 등록한 신규품목은 55품목에 이른다. 반면 (주)신농팜케미컬, 아그리젠토(주), 아진케미컬(주), (주)케이씨생명과학, 팜아그로텍(주), (주)한얼싸이언스 등 준회원사들은 69품목을 신규로 등록했다.
 

올해 1년차 등록시험 1360 항목 신청
2017년 시작…2년차 시험도 894 항목
2019~2021년 사이 신제품 등록 목표

여기에 한국작물보호협회가 집계한 ‘2018년 하작물 농약품목 1년차 시험 신청 항목수’에 의하면, 올해 총 1360 항목의 신규 등록시험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2] 2018년 1년차 시험은 말 그대로 올해 처음 시험을 시작하는 항목이다. 통상 국내 농약등록시험은 2~3년차 시험을 거쳐 등록요건을 갖춘다고 볼 때 오는 2019~2021년에 ‘신제품’으로 등록하기 위한 시험으로 볼 수 있다. 또 2017년에 이어 2018년 2년차 시험을 진행 중인 항목수도 894개에 이르고 있다.[표3] 따라서 2018년도 1~2년차 등록시험 신청 건수는 모두 2254 항목에 달한다.

2018년도 1년차 시험 신청 항목수를 회사별로 보면, 농협케미컬이 340 항목(살균제 136, 살충제 152, 제초제 52)의 시험을 진행하는데 이어 경농 326 항목(살균 122, 살충 174, 제초 30)과 동방아그로 221 항목 등으로 이들 세 회사가 단연코 압도적이며, 그 다음으로 팜한농 107 항목, 한국삼공 103 항목, 아다마코리아 45 항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표2] 

2017년 1년차 시험을 거쳐 올해 2년차에 접어든 회사별 ‘농약품목 시험 신청 항목수’는 동방아그로 176 항목, 농협케미컬 151 항목, 경농 126 항목, 한국삼공 104 항목, 아다마코리아 78 항목, 팜한농 76 항목,  신젠타 17 항목 등으로 집계됐다.[표3]

이처럼 농협케미컬의 강한 신제품 개발 ‘의지’는 농협계통이라는 확고한 자체 유통조직과 더불어 원제사들의 적극적인 ‘러브콜’이 작용하는 것으로 농약업계는 풀이하고 있다. 반면 팜한농의 경우 LG그룹 편입 이후 ‘정도경영’ 전략에 따라 공격적인 투자를 자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과도한 신제품 개발비용(등록시험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매출 및 이익구조를 개선해 나가기 위한 그룹차원의 방향 설정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신젠타와 바이엘은 상대적으로 신규 개발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네릭 회사들도 최근 들어 중국산 원제가격의 상승과 국내 유통시장 여건의 악화 등으로 신제품 개발 동력이 많이 떨어진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등록건수 늘어도 시장규모는 ‘답보’
어쨌거나 국내 농약회사들은 매년 농약 신규 등록을 통해 농약시장의 심화된 경쟁구도를 헤쳐 나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국내 농약시장의 두드러진 신규 등록 품목수 증가는 우선 농약회사들의 이익구조와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는다. 특히 원제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지 못하는 국내기업들의 한계에다 글로벌 원제회사들 역시 신규물질 개발이 더디다 보니 소위 ‘신제품’ 출시가 어려워지면서 동일한 물질(원제)을 활용해 ‘제형’을 달리하거나 ‘합제’를 만드는 방법이 통용되고 있다. 

여기에 기존 농약제조회사(메이저)들이 오랫동안 선점해온 국내시장에 후발업체들이 대거 진출한 이후 경쟁구도가 심화되면서 농약회사들마다 제품의 차별성을 부각할 수 있는 수단으로 ‘신제품’ 등록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더구나 국내 농약제조회사들 대부분은 해외 진출(수출) 활동이 거의 없다보니 내수 시장에서만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에서 그 돌파구를 ‘신제품’으로 삼고 있다.

국내 농약회사들은 2017년 이전에도 상당기간 ‘신제품’ 개발에 공을 들여왔다. 실제로 2015~2017년까지 최근 3년간 신규로 등록된 농약품목은 500여개에 이르고 있다.[표4] 2017년 말 현재 국내 등록농약은 총 2985 품목인 것에 비하면 이 기간 동안 전체 품목수 대비 25% 가량이 등록됐다.[2018년 2월 5일자 1면기사 참조] 

그러나 이들 500개 품목 가운데 오리지널 원제 품목(단제 품목, 이하 ‘오리지널 품목’)은 찾아보기 어렵다. 2015년 이후 지금까지 등록회사별 신규품목 현황을 보면 메이저 8개 회사들은 231개 품목을 등록했고, 후발업체들은 그보다 많은 269개 품목을 등록한데 반해 바이엘과 신젠타는 각각 7건과 4건에 그쳤다. 이처럼 오리지널 원제를 보유한 제조회사들의 등록건수는 현격히 적지만, 반대로 품목별 매출규모는 상대적으로 월등했다. 자체원제를 앞세운 대형품목 위주로 제품군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017년 11월 10일자 참조] 

일례로 ‘영농자재신문’이 지난 2016년 말 국내 농약시장의 품목별 매출규모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전체 농약시장 1억5000여억 원의 3분의 1 가량을 상위 53개 품목이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 66개 품목이 2500억원의 매출을 차지했다. 한국작물보호협회가 발간하는 ‘농약연보’ 상의 1300여개 품목(동일한 원제를 사용하는 원제를 하나로 합산) 중 120여개인 10% 가량이 시장의 절반인 75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반대로 말하면, 나머지 90%의 품목이 7500억원의 시장을 둘러싼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다. 한 품목당 7억원 정도 매출을 올리는 것으로 계산되지만, 이 안에는 공동품목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매출은 2~3억원에 불과하다는 것이 영업담당자들의 해석이다. 특히 매출 상위 20개 품목을 살펴보면 등록 이후 10년이 넘지 않는 품목은 4개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모두 10년이 경과돼 공동품목이 존재하는 품목들이고 소위 전통적인 품목이라고 불리는 제품들이다.

 
“수출시장 개척으로 ‘돌파구’ 찾자”
종합적으로 보면, 오리지널 원제 품목의 신규 등록은 현저하게 줄어들지만 품목별 매출액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며, 협회 정회원사(메이저 회사)의 신규 품목 등록은 활발한데 반해 매출규모는 답보상태에 머물고 있다. 이와 달리 협회 준회원사(제네릭 회사) 중에는 신규 등록 품목을 늘린 회사가 매출액도 급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살균, 살충, 제초 시장을 각각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살균제는 줄어들고 살충제는 늘어나는 추세이다. 제초제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비선택성 제초제 시장이 급격히 늘었다. 

그러나 국내 농약시장은 앞으로도 정체 또는 축소를 면치 못할 것이라는 사실이다. 이 때문에 농약회사들은 ‘신제품’ 등록·판매를 통해 치열한 농약시장의 경쟁구도를 헤쳐 나가려는 시도를 지속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신제품  한 품목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평균 1~3억원 가량의 시험비용이 소요되는데 반해 이익구조는 갈수록 열악해질 뿐만 아니라 해마다 10년 경과 품목(미투 품목)들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서 국내 농약시장은 더욱 가열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농약업계 관계자들은 이와 관련해 “국내 농약회사들은 지금부터라도 내수시장의 출혈경쟁을 벗어나 해외 수출시장 개척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농약업계 관계자들은 아울러 “최초 등록일로부터 10년이 경과한 ‘미투 품목’의 경우 원제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이뤄진 만큼 중복 시험을 최소화해 사회적 비용(등록시험비용)을 줄이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