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저비용 ESG 벼농사로 명명된 ‘무써레 이앙재배 신기술’이 현실화 되면서 본격 영농철에 주목받고 있다. 본래 논을 갈고 물을 댄 후, 일차적으로 논을 고르는 작업인 써레질은 고래로 써레라는 농기구를 소 등에 메고, 논을 왔다갔다 하거나 빙빙 돌면서 평평하게 고르는 고된 작업을 의미한다. 흙덩어리를 잘게 파쇄하고 평탄하게 한다. 담수 깊이를 일정하게 하여 이앙 작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잡초 방제나 비료 농도를 균일하게 하는 등 모내기 전 필수작업으로 여겨왔던 농작업이다. 그러나 이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써레질 과정은 매년 서너 차례와 두 세 시간의 작업으로 인한 본논 준비 노동력과 유류 사용 시간이 증가하는 한편 작업과정에서 이는 흙탕물의 수로 유출에 의한 화학비료 및 제초제 등 비점오염이 증가하는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착안하여 개발 보급되고 있는 신기술이 저탄소 저비용 ESG 벼농사인 무써레 이앙재배 방식이다. 노동력 절감 및 분산은 물론 담수기간이나 양(量) 측면에서 물을 절약 할 수 있다. 또한 벼 그루터기 및 뿌리 분해 과정에서의 메탄 발생 감축 등 탄소 경감도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다. 초기 뿌리 활착이 빠
우리나라 농가 수가 결국 100만 가구 밑으로 떨어졌다. 사상 처음이다. 농가 인구는 208만 9000명으로 전년대비 3.5%가 줄어들었다. 이런 가운데 농촌 고령인구 비중은 50%를 넘기면서 고령화 현상 역시 심화됐다. 농업인 둘 중 한 명은 65세 이상 노인이다. 역시 통계 작성 이래 최초다. 지난달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농가 수는 전년보다 2.3% 줄어 99만 9000가구로 나타났다[그림1]. 1970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농가 수가 100만 가구에 미치지 못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농가 인구는 208만 9000명으로 전년대비 3.5%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표1]. 고령에 따른 농업 포기와 전업(轉業) 등으로 분석된다. 농가인구 중 남자는 102만 5000명, 여자는 106만 4000명으로 성비는 96.3%로 나타났다. 이 같은 감소 추이로 볼 때 농가인구 200만 시대 붕괴 또한 시간 문제로 전망된다. 고령화 문제 역시 심각해졌다. 이번 조사 결과 지난해 농촌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은 전년 대비 2.8%포인트 늘어난 52.8%로 드러났다. 농촌의 고령 인구가 전체의 절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