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종자

‘K-딸기’ 보급률 96.3%…국내 18품종 판매

농진청, 한국 딸기의 현주소 숫자로 풀이
재배면적 15년 새 1.9배…수출 12배 증가
수경재배 면적 10년 사이 10배 이상 늘어

 

 

국산 딸기(K-딸기) 품종의 보급률이 96.3%를 돌파했다. 생산 규모는 1조2000억원이 넘고 연간 수출 규모도 5000만톤 수준에 이른다. 2005년까지만 해도 일본 품종이 석권하고 있던 국내 딸기 시장은 이제 국내 육종 딸기품종이 완전히 장악했다.

 

농촌진흥청은 새해 3일 한국 딸기의 위상을 숫자로 풀이한 자료를 통해 국산 딸기품종 보급률이 2021년 기준 96.3%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농진청에 따르면 2005년 9.2%였던 국내 육성 딸기품종 보급률은 2010년 61.1%로 외국 품종을 역전한 이후, 2015년 90%를 넘어 2021년 9월 역대 최고치인 96.3%를 기록했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국산 딸기는 18개 품종이다. 점유율 1위(84.5%)는 충남농업기술원 딸기연구소에서 개발한 '설향'으로 당도 10.4브릭스(°Bx)에 과실이 크고 수량이 많다. ‘설향’의 보급률이 압도적이지만 다른 품종의 도전도 거세다.

 

점유율 2위는 경남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금실’로 당도는 11.4브릭스이고, 열매가 단단해 내수와 수출이 가능한 품종으로 평가받으며 재배가 늘고 있다. 3위 품종은 담양군농업기술센터에서 육성한 ‘죽향’으로 당도는 12.8브릭스이고 품질이 좋다. 4위는 맛과 유통성이 우수해 수출용으로 재배되는‘매향’이다.

 

 

 

 

현재 딸기 재배 면적은 5683헥타르(ha), 생산액은 1조 2270억 원에 이른다. 2005년 6457억 원에 불과하던 우리나라 딸기 생산액은 15년 사이 1.9배 늘었다. 전체 채소 생산액(약 11조 2000억 원)의 10.9%를 차지하는 금액으로 채소 작물 중 가장 규모가 크다.

 

과거 토양에서 재배했던 딸기는 이제 수경재배로 전환되는 분위기이다. 10년 전 토양재배와 수경재배 비율은 97.4% 대 2.6%(184헥타르)였지만, 현재 토양재배는 64.5%, 수경재배는 35.5%(2,018헥타르)에 이른다.

 

딸기는 수출 효자 품목이기도 하다. 2020년 기준 딸기 수출량은 4823톤, 금액으로는 5374만 7000 달러(약 637억 9700만 원)였다. 2005년 수출액이 440만 6000 달러였던 것과 비교하면 15년 사이 약 12배 증가했다.

 

주요 수출 품종은 ‘금실’과 ‘매향’ 등이고 주요 수출국은 홍콩,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이다.

 

농진청이 지난해 12월 10일 온도, 습도를 비롯해 산소, 이산화탄소, 에틸렌 등 대기 환경을 조절하는 시에이(CA, Controlled Atmosphere) 컨테이너에 딸기 약 1500kg을 실어 홍콩으로 시범 수출한 바 있다. 수송기간이 2주가 걸렸음에도 불구하고 ‘금실’,‘아리향’의 품질이 유지돼 현지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수출업체(한인홍) 임재화 대표는 “CA 저장 기술 덕분에 우리 딸기의 우수한 품질을 홍콩시장에 알릴 수 있어 자부심을 느낀다”라며 “한국의 농식품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을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CA 컨테이너 도입으로 우리 농산물의 위상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한편 농진청은 2006년 딸기연구사업단을 출범해 전국 도농업기술원, 시군농업기술센터와 공동 연구를 통해 딸기 우량 품종 개발과 보급에 앞장서 왔다.

 

딸기를 재배하는 김제금실작목반 류필영 씨는 “소비자의 취향을 반영하는 다양한 신품종이 개발돼 농가의 소득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전했다.

 

이우문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채소과장은 “당도와 경도가 우수하고 저온기 기형과 발생이 적은 신품종을 육성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라며. “농업인들이 품질 좋은 딸기를 생산할 수 있도록 재배 지침을 개발해 보급함으로써 국산 딸기 신품종의 우수성을 알리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