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별 병해충 및 잡초에 대한 세부 설명과 사진을 활용한 이해를 통해 올바른 적기 방제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연재 「방제도감-병충초(病蟲草) 바로알기!」 열아홉 번째 코너. 이번 호에서는 배추 뿌리혹병과 병안목/뾰족민달팽이과 해충인 들민달팽이, 질경이과 잡초인 개질경이에 대해 알아본다. 농촌진흥청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이고자 운영하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 중 농작물에 대한 다양한 병해충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병해충별 도감정보’ 자료를 인용했다.
발생환경=토양 중에 존재하는 병원균의 휴면포자는 수 년간 생존할 수 있으며 빗물, 관개수, 흙, 바람, 동물, 농기구 등에 의해서 전염된다.
토양습도 80% 이상의 과습한 포장에서 발병되기 쉽다. 기온이 20~25℃이고, 토양산도가 6.0이하의 산성토양에서 병 발생이 많다.
보통 토양산도가 7.2이상 되거나 토양수분이 45% 이하인 포장에서는 발병되지 않는다. 병원균은 무 뿐만 아니라 다른 십자화과 채소작물도 침해하여 뿌리혹병을 일으킨다.
증상설명=감염된 그루의 지상부는 건전한 그루에 비해 생육이 부진하고, 병이 진전됨에 따라서 점점 시드는 증세가 심해진다. 생육 초기에 감염된 그루는 잎이 전체적으로 푸른 상태로 시드는 증상을 나타내며, 생육중기 이후에 감염된 그루는 주로 아래쪽의 잎만 시드는 증세를 나타내거나 시드는 증세를 별로 나타내지 않기도 한다. 병든 그루의 뿌리는 이상비대(異狀肥大) 되어, 뿌리에는 작거나 큰 부정형의 혹이 여러 개 형성되고, 형성된 혹의 모양은 식물체의 생육단계 및 감염정도에 따라서 다르게 보인다. 생육 후기에 이르러 혹의 상처 부위로 세균이나 다른 균류가 침입하여 뿌리가 썩기도 한다.
방제방법=토양내 과습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병든 식물체의 뿌리혹을 제거하여 소각한다. 석회를 시용하여 PH를 7.2이상으로 교정한다. 병원균에 오염된 포장에서 작업한 농기구는 깨끗이 세척한다. 병에 잘 걸리지 않는 품종을 재배한다(HR계통 품종). 상습생포장은 배추과 이외의 작물로 돌려짓기 한다. 작기마다 연속해서 등록 약제를 처리하면 효과적으로 병원균의 밀도를 줄일 수 있다. 방제 약제로는 다양한 약제가 등록되어 있다.
형태정보=명주달팽이와 달리 껍질이 없는 달팽이로 몸 색깔은 갈색과 흑갈색이며 외투막이 등을 감싸고 있다. 성체의 크기가 3~4㎝ 정도로 작고, 등에 세로줄이 없다. 머리에 2쌍의 더듬이가 뿔처럼 나 있어 자유로이 내밀기도 하고 감추기도 하는데 뒤의 것이 앞의 것보다 길며 거기에 눈이 있다.
또 앞의 1쌍에는 후각기관이 있다. 발의 앞 끝에 점액선이 나오는 구멍이 열려 있어 몸이 건조할 때 점액을 분비하여 몸이 잘 미끄러지도록 한다. 식물의 잎에 올라가 먹을 부분을 침으로 축인 후 단단한 위턱으로 물어서 갉아 먹는다.
생태정보=민달팽이는 1년에 봄, 가을 2회 발생주기를 보이며,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 발생량이 많다. 온실에서 발생기는 1월 하순~5월 하순, 10월 하순~12월 하순이고, 발생최성기는 1회가 4월 중·하순, 2회는 11월 중·하순이다. 생육적온은 15~25℃이며, 습도가 높을수록 활동이 활발하다.
피해정보=온실 내의 습한 장소에서 발생이 많지만 노지에서도 장마기나 흐린 날에 배추, 딸기 등과 같은 식물에 피해가 많이 나타난다. 피해 부위는 달팽이의 분비물인 점액질로 인해 기어다닌 자리가 광택이 나며 가늘고 꾸불꾸불한 검정색 배설물이 있다. 피해가 심한 잎은 줄기만 남으며 그물모양으로 도둑나방 유충의 식흔과 비슷하다. 주로 잎을 가해하지만 딸기 등의 경우 열매를 그리고 화훼류(거베라, 백합, 등)의 경우 개화 후 꽃을 가해하는 경우도 있다.
방제방법=경종적 방제는 토양 표면이나 작물체를 과습하게 하지 말고 깨끗하게 관리하며, 물기가 많은 마분지 종이, 배추 잎, 멜론, 수박 등의 껍질을 이용하여 유인된 달팽이를 제거한다. 유기농 방제는 높이가 약 10㎝ 정도로 페트병을 자른 용기에 맥주 50㎖(소주잔 1잔 정도)에 담고, 니코틴 함량이 높은 담배 1개비를 비벼 넣고 섞어 저녁 무렵 밭에 약 3~4m 간격으로 구덩이를 파고 용기가 약간 돌출될 정도로 묻어 두면 민달팽이를 유인시켜 죽일 수 있다. 약제 방제는 유인살충 미끼제인 메트알데하이드 입제를 저녁 무렵 땅 표면에 적당한 간격으로 뿌려준다.
형태=높이는 30cm 안팎이다. 줄기 근경은 굵고 전체에 백색의 연모(軟毛)가 약간 밀생한다. 나비 2.5~5㎝이며 평행맥이 끝은 둔하며 밑은 좁아져 엽병으로 흐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파상(波狀)이다.
잎은 뿌리에서 총생하고 장타원형 또는 좁은 장타원형으로 길이 2~5cm,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물결모양이며 엽병 기부는 약간 넓어진다. 꽃은 백색으로 피고 잎 사이에서 길이 15~30㎝의 화경이 나와 위쪽에 수상화서로 잔꽃이 밀생한다.
포는 털이 없고 난형으로 꽃받침보다 짧다. 꽃받침은 털이 없고 백색 막질(膜質)이며 길이 2~2.5㎜이고 녹색의 넓은 중륵(中肋)이 있다. 화관은 길이 약 3㎜이고 깔때기 모양이며 끝이 4열하고 4개의 수술이 길게 밖으로 나온다. 과실은 삭과로 상반부가 원추상 난형이다. 짧은 구근에서 다수의 부정근과 근모가 발생한다.
생태=다년생 초본이며 꽃은 5~7월에 개화하고 10월에 열매가 성숙된다. 전국 각처의 해변원야지(海邊原野地) 및 산야지(山野地) 길가에 자생한다.
서식지=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