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별 병해충 및 잡초에 대한 세부 설명과 사진을 활용한 이해를 통해 올바른 적기 방제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연재「 방제도감-병충초(病蟲草) 바로알기!」 열여섯 번째 코너. 이번 호에서는 배 탄저병과 매미목/진딧물과 조팝나무진딧물, 사초과 잡초인 괭이사초에 대해 알아본다. 농촌진흥청이 신속한 조기경보와 대응으로 농작물 피해를 줄이고자 운영하는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NCPMS)’ 중 농작물에 대한 다양한 병해충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병해충별 도감정보’ 자료를 인용했다.
발생환경=병원균은 주로 균사 및 포자의 형태로 병든 잎이나 열매, 가지에서 겨울을 지나 다음 해의 전염원이 된다. 늦은 봄으로부터 여름에 걸쳐 비가 오거나 다습하면 병든 잎이나 가지에 점액질의 분생포자가 형성되고 빗방울에 의하여 전염된다.
또한 열매의 병반에 형성된 점액질의 분생포자도 빗방울이나 곤충에 의하여 전반된다. 고온이며 비가 많은 지대에 심하고 통풍이 잘 안되는 밀식 과수원에 발생이 많다.
증상설명=잎, 가지, 과실에 나타난다. 잎에는 처음 적색 내지 갈색의 소형 병반이 형성되고 점차 진전되면서 2~3㎜의 회백색 병반으로 되며, 그 표면에 흑색의 소반점(분생자층)이 다수 형성된다.
봉지씌우기를 하지 않은 과일에서 숙과에 발생하는데 처음에는 갈색의 원형 반점이 생기고, 진전되면 윤문상으로 나타난다. 심하면 병반부가 함몰되고, 습하면 담홍색의 점질물(포자퇴)이 형성된다. 가지에 발병하면 수피가 검게 변하고, 가지가 말라죽는다.
방제방법=병든 잎과 병든 열매를 제거하고 모아서 태운다. 비배관리를 철저히 하여 수세를 강하게 한다. 비오기 전 또는 후에 등록 약제를 뿌린다.
형태정보=날개가 없는 무시충은 1.2~1.8㎜이고, 머리가 거무스름하다. 배는 황록색이고 미편과 미판은 흑색이다. 날개가 있는 유시충은 머리와 가슴이 흑색이고 배는 황록색이다. 뿔관 밑부와 배의 측면은 거무스름하다. 알은 처음에는 초록색이나 2~3일이 경과하면 광택이 있는 검은 색으로 변한다.
생태정보=단위생식세대는 난 → 유충(4령) → 성충(암컷만 보임), 유성생식세대는 난 → 유충(4령) → 성충(암컷은 무시, 수컷은 유시 또는 무시)을 경과하여 년 10세대 정도 발생하고, 조팝나무 눈에서 알로 월동하며 일부 사과나 배나무 눈 기부에서도 월동한다.
월동난은 4월경 부화하기 시작하여 발아하는 눈에서 증식을 시작하고, 조팝나무에서 월동한 것은 5월 중순경 날개가 있는 유시충으로 되어 과수로 날아와 증식한다. 이때 증식은 새끼를 직접 낳는 태생으로 하기 때문에 날씨 조건만 맞으면 몇일 사이에도 대발생할 수 있다.
6~7월 최고 밀도에 도달했다가 신초 성장이 멈추면 자연히 밀도가 낮아져 일부 도장지에서만 생존을 유지한다.
피해정보=5월 하순에서 6월 중순까지 신초 선단의 어린잎에 다발생 하나 나무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밀도가 급증하면 배설물인 감로가 신초나 과실에 그을음병을 유발사킨다.
방제방법=약제저항성이 쉽게 유발되므로 성분이 다른 계통의 약제를 교호 살포해야 된다. 나무에 큰 피해를 입히지 않으므로 신초당 20~30마리 이내일 때에는 더 기다렸다가 적과 등 작업 개시 전에 급격히 발생할 때만 카바메이트계나 유기인계 농약을 6월 중순~7월에 1~2회 살포하여 방제한다.
7월 중순부터는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므로 방제할 필요가 없으며, 사과의 경우 9월 이후 2차 생장 신초에 다발생 하는 경우 다른 해충방제에 맞춰 동시방제 하고 이때는 조팝나무진딧물을 주목적으로 방제할 필요는 없다. 방제약제는 천적에 저독성인 약제를 선택한다.
유입종=자생종이다.
형태=초장은 30~60㎝이고 줄기는 총생하며 둔한 3능형으로 곧추서고 밋밋하며 전주(全株)에 녹색의 작은 반점이 있다. 잎은 편평하고 나비 2~4㎜이며 황록색이다. 꽃은 줄기 끝에 많은 소수가 밀집하여 난상 원주형의 화서를 만든다.
소수는 난상 원형으로 길이 4~8㎜이고 위쪽에 수꽃, 아래 쪽에 암꽃이 나며 화서의 길이는 2.5~6㎝이다. 화서 기부에 방사상으로 퍼지는 엽상의 긴 포가 있다. 암꽃의 인편은 넓은 난형으로 녹빛의 줄이 있고 끝은 짧은 까락으로 끝난다. 과포는 편평한 난형으로 겉에 맥이 많고 양가에 톱니가 있는 날개가 있으며 끝은 2열한다. 종자의 수과는 편평한 난상 타원형이고 암술머리는 2개 이다. 근계는 짧은 뿌리 줄기를 형성한다.
생태=다년생의 초본식물로 산록의 습한 풀밭과 논뚝에 서식하며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종자와 뿌리로 번식한다.
서식지=경지 주변과 도로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