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파 아주심기(정식) 기계화의 핵심인 모종 기르기를 할 때 가을에 사용하지 않은 벼 육묘장을 활용하면 비용을 5분의 1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됐다.
농촌진흥청이 전남 신안군의 벼 육묘장 한 곳의 내부 시설을 보완해 양파 플러그묘 생산 실증 연구를 진행한 결과, 비슷한 규모의 온실을 새로 짓는 비용의 20~30% 만으로도 우량의 양파 육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진청에 따르면, 현재 63.3%에 그치고 있는 밭농업 기계화율을 2026년까지 77.5%로 높이기 위해서는 작물의 파종, 아주심기(정식), 수확 작업의 기계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양파 재배 농가들은 양파 아주심기(정식) 기계화의 핵심인 모종 기르기를 위한 시설 신축에 큰 부담을 느껴 왔다.
이에 농진청은 그동안 기계화에 알맞은 양파 플러그묘 생산기술을 확립하기 위해 내재해형 육묘 온실 모형(모델)을 개발, 보급해 왔다. 특히, 벼 육묘장은 1년 중 3개월(4~6월) 동안은 벼를 육묘하고 나머지 기간에는 가동하지 않는다. 전국 양파 주산지에 있는 벼 육묘장을 활용하면 육묘장 40배 면적에 심을 모종을 기를 수 있다.
권재한 농진청장은 이달 7일 양파 파종 현황과 양파 육묘 현장 실증 연구 점검차 전남 신안군 육묘장을 찾아 “양파 아주심기는 양파 재배 과정 중에서도 기계화율이 낮은 작업”이라며 “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균일하고 충실한 양파 모종 생산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권 청장은 이어 “필수적인 육묘 온실 구축비를 줄이려면 기존 작물의 육묘 시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권 청장은 현장에서 만난 관련 연구자들에게 “실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성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육묘 지침서(매뉴얼)를 현장에 빠르게 확산시키는 데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농진청은 올해 안으로 육묘 지침서를 개발할 계획이다. 아울러 농진청에서 실시하는 원예작물 스마트 기계화 적용 시범사업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는 주산지 일관기계화 지원사업을 연계해 벼 육묘장 등을 활용한 양파 육묘를 지원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