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고령화 및 농가인구 감소로 인한 농촌 노동력 부족 해결사는 물론 농업을 하이테크 산업으로 유인하고 있는 농업무인항공 방제가 여전히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어 주목된다.
노동력 절감은 물론 저농약 농법, 다목적성, 안전한 친환경적 방제, 기동성과 편의성 확보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닌 농업무인항공기를 이용한 방제가 농업인들의 선호도를 십분 자극한 결과로 풀이된다.
20여 년 전인 2003년부터 시행된 무인헬기를 이용한 항공방제는 그러나 초기 부정적 인식 등 제반 어려움이 적지 않아 200여ha에 머무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다. 이후 농촌노동력 변화가 가시화하면서 항공방제업체가 급증하고 드론 등으로의 보유 기종 확대, 농업인의 선호도 증가 등에 힘입어 해를 거듭할수록 항공방제 면적이 늘어난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방제사업의 게임체인저로 부상한 모양새다. 하지만 적용작물 및 방제효과 한계 등으로 방제면적 급증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다.
2023년말 현재 기준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집계한 항공방제업 신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경기 강원 등 9개 도에 등록된 업체 수는 모두 1453개 업체에 이르고 있다. 이는 당해년도 5월 740개 업체와 비교하면 7개월 만에 거의 두 배에 달하는 방제업체가 증가한 것이다. 방제영역의 니치 마켓(niche market)으로 내다봤다는 반증이다.
같은 기간 이들 업체들이 보유한 무인항공기는 드론이 1105대에서 2202대로, 무인헬기가 60대에서 204대로 증가하는 등 총 1165대에서 2406대로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유인헬기는 모두 14대를 보유하고 있는데 그쳤다.[표1]
반면 최근 5년간 농협경제지주 자재사업부가 집계한 자체 항공방제기(무인헬기, 드론, 광역살포기) 보급·운영 현황을 보면, 지난 2019년은 모두 592대로 집계됐으나 2020년에는 743대로, 2021년은 864대로, 2022년은 881대로, 2023년에는 946대로 집계돼 5년 전인 2019년 대비 354대(59.7%)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표2]
양 연도(2019년, 2023년)를 기종별로 알아보면, 2019년 무인헬기는 210대에서 2023년 180대로 30대(14.2%)가 줄어든 반면, 같은 해 드론(멀티콥터)은 266대에서 682대로 무려 416대(156.3%)가 늘어났다. 광역살포기 역시 같은 해 116대에서 84대로 32대(27.5%)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변화된 항공방제 살포 장비의 실태를 보여 주었다.
최근 5년간 농협경제지주 자재사업부가 자체 집계한 항공방제(무인헬기, 드론, 광역살포기) 면적을 살펴보면, 지난 2019년 27만1000ha에서 2020년에는 29만7000ha로, 2021년 32만ha, 2022년 32만6000ha, 2023년에는 35만3000ha로 나타났다.[표3] 매년 7~8%P 성장한 셈이며 지난해는 2019년 대비 23.2P 증가한 면적이다.
2023년도 경지면적 151만2000ha(논 76만4000ha(50.5%), 밭 74만8000ha(49.5%))와 비교할 때 23.3%에 상당하는 방제면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이 논 방제면적임을 감안하면, 전체 논 면적 76만4000ha 대비 46.2%에 이르러 재배면적의 절반에 가까운 방제를 무인항공기가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이와 상반되는 부정적 이면(裏面)과 제도 개선 등 보완해야 할 과제 또한 없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방제업자의 인식 부족으로 살포 고도 및 속도 등 살포기준 미준수로 인한 효과 저조, 비산으로 주변 작물에 피해가 나타남은 물론 상존하는 사고 발생 가능성 등은 극복 과제로 지적받고 있다.
관계 법령을 비롯해 병해충방제 및 살포 비행 기술, 사고 회피법, 운영 및 유지보수 실습 등 다양한 커리큘럼과 충분한 교육시간 이수, 제도 개선, 방제업자의 윤리 의식 제고를 통한 사고 방지 등 기초적 정비가 우선되어야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관계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