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전문기업 육성과 지속가능한 성장 열쇠는?

  • 등록 2019.06.13 13:24:38
크게보기

‘비즈니스시스템 통한 농촌기업 활성화 방안’
KREI 김광선 연구위원, 5가지 정책방향 제시
지역연계강화, 보상체계 구축하고 산업문화화

농촌산업의 핵심 주체인 농촌 기업 활성화가 더욱 진작돼야 한다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광선 KREI 연구위원 등은 ‘비즈니스 시스템 구축을 통한 농촌기업 활성화 방안’ 연구를 통해 “농촌산업 육성이 농촌에 대한 재분배 차원의 사회정책 일환이기보다 경제정책의 관점에서 접근되고 활성화돼야 한다”며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5가지를 제시했다.

농촌지역에도 농업·농촌 자원을 활용하는 다양한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확산되고 있다. 농촌산업의 육성을 위해 농촌향토산업, 지연산업, 농촌문화산업, 농촌관광, 농촌융복합산업, 6차 산업화 등 다양한 접근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벤처농기업, 농업회사법인, 영농조합법인과 같은 농기업 외의 다양한 유형의 농촌기업에 대한 법·제도적 정의나 규정은 전무한 형편이며, 농촌기업의 개념과 범위에 대한 명시적 규정도 매우 부족하다.

2000년대 들어서 농촌에 새로운 산업기반을 구축하고 관련 활동을 활성화하고자 본격적인 농촌산업 육성정책이 추진됐다. 지역농업 클러스터 지원 사업으로 시작된 지역전략식품 육성사업, 신활력 지원 사업, 농어촌자원복합산업화 지원 사업과 그 일환이라 할 수 있는 6차 산업화 지원 사업 등이 추진됐으며, 이러한 정부의 농촌산업 육성정책은 성장가능한 산업기반을 농촌에 구축하는 데 직·간접적으로 기여했다.


2005년과 2015년을 비교해보면, 농업 종사자는 군 지역에서 39.6%, 도농복합시에서는 6.0% 감소했지만, 동 기간 전 산업의 사업체 수와 사업체 종사자 수는 군에서 각각 28.3%와 36.1% 증가했으며, 도농복합시에서는 39.3% 및 48.4% 증가했다. 김 위원은 “같은 기간 전국의 사업체 수와 사업체 종사자 수가 각각 17.8%와 25.9% 증가에 그친 점을 볼 때 정책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김 위원은 농촌정책으로서의 농촌산업 육성은 주로 농업생산 활동과 연계해 농업생산자의 부가가치 증대 및 농가의 소득 증대 차원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고, 산업 활동의 핵심 주체인 전문기업 육성과 이들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지원은 상대적으로 소홀했다고 밝혔다.

 

“농촌산업의 핵심은 농촌기업과 이들의 활성화”
그 이유는 농촌산업이 농촌사회정책의 대상이라는 인식이 강해 주로 시장거래를 통해 활동하는 기업과 같은 경제조직은 농촌정책의 대상으로 간주되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농촌기업이 성장하면 기업의 후방연계가 되는 농업은 안정적 판로를 확보하면서 생산을 확대하고 농업생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기에, 농촌산업의 핵심은 해당 산업 활동의 핵심 주체인 농촌기업과 이들 기업의 활성화라는 것이 이번 연구보고의 주장이다.

김 위원은 농촌기업에 대한 비즈니스 시스템 접근을 통해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5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농촌기업 육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하며, 둘째, 비즈니스 시스템 주요 구성 부문별 맞춤형 지원이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세 번째로는 농촌 기업의 지역연계 강화와 보상체계 구축 추진을, 네 번째는 농촌기업 간 지역협력체계 구축을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산업의 문화화를 통한 농촌기업 비즈니스 시스템의 확대를 제시했다.


특히 산업의 문화화(culturalization of industries)는 오늘날 산업의 경쟁력이나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김 위원은 “농촌기업 원료 생산단지의 조성과 이의 경관자원화 및 문화자원화를 추진하고 이를 통해 농촌기업들의 비즈니스 시스템이 체험, 관광, 교육 등으로 확대돼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은원 기자 | wons@newsfm.kr

이은원 기자 wons@newsfm.kr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영농자재신문(주) 서울시 광진구 구의강변로 64 구의아크로리버 B동 204호 발행ㆍ편집인 : 이은원 | 전화번호 : 02-456-1005 ㅣ 팩스 : 02-456-2060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