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혹선충 새 방제기술 개발 물꼬 트였다

  • 등록 2017.02.28 10:20:30
크게보기

농진청, 고구마뿌리혹선충 발현 양상 밝혀내
마이크로 RNA 분석…약제개발 기폭제 기대

뿌리혹선충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개발의 물꼬가 트였다.


농촌진흥청은 뿌리혹선충 방제기술 개발을 위해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발생단계별(알, 제2령, 제3령, 제4령, 성충)로 마이크로RNA 발현 양상을 분석ㆍ정리했다고 밝혔다.


농진청에 따르면 뿌리혹선충류(Meloidogyne)는 작물의 뿌리 등에 기생하면서 양분을 빨아먹어 큰 피해를 주며, 대략 2000여 종의 작물에 감염할 수 있다. 일단 작물 뿌리 안으로 들어가면 방제하기 매우 어려워 새로운 방제 대안이 요구되고 있다.


농진청이 이번에 밝힌 마이크로RNA 양은 기존에 알려진 2724개와 새롭게 찾아낸 383개 등 총 3107개이며, 발생단계별로 분석ㆍ정리하고 이 가운데 43개는 세포 내 확실성을 검증했다.


특히 이번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발생단계별 마이크로RNA 분석은 세계적으로 처음 보고된 결과이며, 관련 연구결과는 지난해 10월 국제분자과학지(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 발표됐다.


농진청은 이번 마이크로RNA 분석 정보가 앞으로 뿌리혹선충의 유전자 발현을 제어해 병 발생을 막는 마이크로RNA 약제 개발에 기폭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관련 정보를 산업체 등에 제공할 계획이다.


농진청 생물소재공학과 한범수 농업연구관은 “이번 연구는 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뿌리혹선충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 개발의 물꼬를 텄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관리자 기자 newsfm@newsfm.kr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영농자재신문(주) 서울시 광진구 구의강변로3가길 33 (구의현대7단지 상가동) 303호 발행ㆍ편집인 : 이은원 | 전화번호 : 02-456-1005 ㅣ 팩스 : 02-456-2060 Copyright ©2016 newsF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