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비료

올해 무기질비료 출하량 감소…수출도 하락

10월말 기준 농업용 출하량 92만6000톤…전년보다 2.4% 감소
수출량은 91만6000톤으로 4.4% 감소…황산암모늄 대폭 감소
식량위기시대…국내 적정한 제조원가로 공급하는 시스템 갖춰야

올해 긴 침체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무기질비료 생산업계는 코로나19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비료협회(회장 하형수)는 올 10월말 기준 무기질비료 농업용 출하량이 926000톤으로 전년 949000톤보다 2.4% 감소했다고 밝혔다. 연초 이상저온과 호우, 태풍 등 피해와 코로나19로 인한 농산물 수요 감소 등이 주요인이다.


주요 비종별로 보면 요소와 21복비, 맞춤형비료, 원예용복비는 감소했으나, 완효성 기능성 비료는 다소 늘어났다. 요소와 21복비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특히 올해 벼 작황이 나빠 각각 4.9%, 6.2% 줄었다. 농가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는 맞춤형비료는 3.5% 감소했다. 원예용 복비는 최근 증가세를 보이다가 올해 냉해와 긴장마로 인한 소비 감소로 전년대비 3.4% 감소했다.


정부의 환경친화적 시책에 걸맞는 완효성비료는 노동력 절감과 양분효용도가 높아 농가에서 선호해 전년보다 14.5% 증가했다.


협회는 매년 10월 기준 무기질비료의 국내 출하량은 2016년도 959000, 2017년도 1031000(전년에 비해 7.5%), 2018년도 914000(11.3%), 2019년도 949000(3.8%), 올해 926000(2.4%)으로 최근 년도에 감소폭이 둔화된 것으로 분석했다.

 

수요감소 따른 단가하락으로 수출액 6.5%

올해 무기질비료 수출도 코로나19 영향으로 감소했다.


무기질비료는 원자재 생산국인 중국·러시아·중동 등이 가격경쟁력 우위로 해외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국내 무기질비료 업체는 품질 차별화로 태국·베트남·필리핀·미얀마 등 동남아지역을 공략해 왔다.


올해 10월말까지 수출량은 전년 958000톤보다 4.4% 감소한 916000톤이다. 수출액도 수요감소에 따른 단가 하락 등으로 전년 21600만불보다 6.5% 하락한 2200만불을 보였다. 주력 수출비종인 복합비료는 베트남 미얀마 호주의 수요증가로 물량에서 10.5% 증가했고 금액도 4.4% 증가했다. 황산암모늄은 북미와 유럽의 코로나19로 인한 농산물 수요감소로 비료 수입이 줄어들어 물량 22.4%와 금액 36.8% 각각 감소했다.

 

연말 주요 원자재 가격 상승 예상된다

국제 원자재는 2~4월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료원료 생산국인 중국의 공장가동 중단과 통관업무 제한 등으로 요소, DAP 등 가격이 상승했고 수입에도 차질이 있었다.


5~8월은 세계 각국의 무역제한과 경기침체로 인한 농산물 소비가 줄어 비료수요도 감소하고 원자재가격도 일시적으로 안정세를 보인 듯 했다. 그러나 최근 식량위기 등으로 인한 비료 수요증가와 환경규제 강화, 해상운임 상승 등으로 요소, 염화칼륨, DAP 등 주요 원자재가 모두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요소가격은 인도의 겨울철 작기(12~3) 대비한 대량구매(최소 300만톤 이상 구매)로 인한 수요 증가와 중국의 수출물량 감소로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 내수용 비료 비축과 겨울철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환경설비가 취약한 중소업체 공장의 가동중단에 따른 내수 수요증가로 수출 가용물량이 부족해 요소가격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DAP와 염화칼륨도 상승세로 전환되고 있다.

DAP의 경우 중국 생산업체의 호우피해로 인한 복구지연과 중국내 DAP 생산업체 합병으로 인한 수급조절로 수출물량 부족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염화칼륨도 올해 상반기 수요감소로 가격약세를 보였으나 하반기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물류차질 우려와 복합비료 생산업체의 비축으로 가격 상승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국제 원자재의 가격 상승은 원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무기질비료 업체에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무기질비료 효용·안전·경제성 알려져야

협회는 주요 농자재인 무기질비료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적정한 제조원가로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무기질비료 생산업계는 지난 2016년부터 납품가격에 생산비의 70%를 차지하는 원자재가격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그간 2000여 억원의 영업 손실로 현재도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는 올해에도 영업적자가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 공급가격이 누계로 17.5%로 인하돼 올 연말에 결정될 2021년도 공급가격이 제대로 산정됐으면 하는 기대가 매우 크다.


특히 무기질비료 공급기준 비종인 요소는 2017~2019년 연도별 국제가격이 각각 12.1%, 13.4%, 3.0% 상승되었음에도, 국내 공급가격은 20171.8%, 20181.3% 인하됐고 2019년에는 2.4% 인상되는데 그친 바 있다.


윤영렬 협회 전무는 무기질비료가 합리적인 원가에 기초한 가격으로 공급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무기질비료는 여타 비료에 비해 양분효과가 높고 신속하며 경제적이어서 우리나라와 같이 식량자급률이 낮은 국가에서는 양질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필수적인 농자재라며 농가에서 무기질비료와 퇴비 등 유기질비료를 시비처방에 따라 균형있고 조화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비료유통 및 영농 등 지원체계를 재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기질비료 농업용 출하량 실적>

 *협회 회원사 7개사 기준 누계  (단위:천톤,%)

구 분

‘15

‘16

‘17

‘18

 

 

‘20.10

(B)

증감

B/A

‘19

‘19.10

(A)

합 계

1,184

1,064

1,105

1,054

1,031

949

926

2.4

단비 계

225

221

182

185

185

172

169

1.7

요소

193

182

154

162

155

143

136

4.9

기타

32

25

28

23

30

29

33

13.8

복비 계

959

843

923

869

846

777

757

2.6

21복비

168

180

191

195

165

161

151

6.2

원예용

340

360

416

407

428

411

397

3.4

맞춤형

253

222

229

185

151

143

138

3.5

완효성기능성

55

55

51

54

67

62

71

14.5

NK

143

26

36

28

35

-

-

-


<무기질비료 비종별 수출 실적>

(단위 : 천톤, 백만불, %)

구 분

‘15

‘16

‘17

‘18

 

 

‘20.10

(B)

증감

B/A

‘19

‘19.10

(A)

물량

691

865

1,168

1,162

1,179

958

916

4.4

황산암모늄

90

297

525

525

541

434

337

22.4

복합비료

601

568

643

637

638

524

579

10.5

금액

250

249

260

276

266

216

202

6.5

황산암모늄

12

35

64

62

61

57

36

36.8

복합비료

238

214

196

214

205

159

166

4.4

 

<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 >

(단위 : $/)

구 분

‘15

‘16

‘17

‘18

 

 

‘20.10

11

(P)

‘19

‘19.10

요 소

319

239

268

304

313

310

313

315

염화칼륨

388

324

300

319

350

320

301

330

D A P

459

353

355

421

380

347

348

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