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 저항성 문제는 작금에 대두된 돌발현안이 아니다. 그간 정부는 물론 산업계에서도 대농업인 및 판매상 교육 등 기회 때마다 동 문제 잡기에 나름 노력해 온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 허나 사용자의 더딘 인식과 단순 ‘교호 살포’에만 방점을 두는 한계로 인해 저항성 문제는 늘 정부 및 산업계의 민원 대상이거나 풀어야 할 숙제로 남겨져 어쩌면 신기루였는지도 모른다.
특히 지난 2014년 11월 전격 도입, 시행된 저항성 해소 ‘약제 작용기구 표시제도’는 저항성 해소를 위한 ‘신의 한 수’가 될 것으로 평가하고 기대했지만 실제적 효과가 얼마나 있었는지는 솔직히 가늠키 어렵다. 살균 살충 제초제의 용도별 표시기호 혼선 및 품목명과 상표명의 오인, 사용횟수 인지를 위한 약제사용 기록을 남겨야 하는 등의 제반 문제로 인해 사용자의 이해도가 현저히 낮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저항성 해소 ‘약제 작용기구 표시제도’란 유사한 작용기구를 보이는 농약을 분류, 그룹화함으로써 동일 그룹·농약을 중복 사용하지 않고 번갈아 사용하여 약제 저항성 발생을 예방코자 하는 제도로서 살균제는 가, 나, 다...순으로, 살충제는 1, 2, 3...순으로, 제초제는 A, B, C...순으로 농약 포장지 좌측 상단의 용도별 표시 아래에 표기토록 한 제도다.
하여 저항성 문제 잡기를 위한 최근 산학연정의 일련의 노력은 만시지탄의 감이 없지 않으나 매우 긍정적이며 가시적 성과가 기대되는 것도 사실이다. 비록 산업계와 온전한 합의에 이르지 않았다 하더라도 최근 농진청이 발표한 농약 저항성 관리 종합대책의 면면에서도 그 고뇌의 일단을 쉬이 읽을 수 있다.
농진청은 그동안 농약 저항성 연구는 종합적인 조사체계 없이 관계기관 및 대학 등에서 파편적으로만 수행돼 왔고 관리측면에서도 저항성 관련해서는 ‘동일계통 농약의 연속 살포 자제 권고’ 내용 이외에는 별도의 관리체계가 없는 상황이었음을 현황 및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재(2022∼2024) 채소·과수의 주요 병해충별 저항성 조사(병 6, 충 9)를 진행하고 있음에도 조사대상 병해충의 종류나 조사지역, 대상 농약 등 조사체계를 좀 더 명확히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내다봤다. 백약(百藥)의 처방이 있었지만 효용성은 저항성 대책만큼이나 낮았는지도 모른다. 악화 일로를 걸어온 골칫거리 현안이었던 셈이다.
본지 제173호(2023.12.1.자)를 통해 보도(정부·농약산업계, 골칫거리 ‘농약 저항성’ 잡는다)한 농촌진흥청의 ‛농약 저항성 관리방안 및 추진 경과’에 이어 이번 호에서는 한국작물보호협회가 지난달 29일 발표한 ‘농약 저항성 주요 병해충 관리방안 마련 추진계획’을 조명해 봄으로써 과연 골칫거리 농약 저항성을 잡기 위한 산업계의 고민과 노력은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를 돕고자 한다.
자율적 전반적 저항성 관리 필요
작물보호협회는 이날 발표에서, 산업계는 자율적으로 전반적인 저항성 관리가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일선 현장에서 필요한 ‘올바른 저항성 관리 교육 행동계획’을 수립, 실천코자 한다고 말했다. 사용자인 대농업인 및 판매관리인에 대한 저항성 관리 교육을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등 정부, 산업계, 농약 관련기관 간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주요 병해충의 저항성 현안 해소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것이다.
주요 추진계획을 보면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첫 번째는 공동 기본 교육자료 제작 등 정부와 산업계, 관계기관 간의 협업을 통한 구체적인 저항성 관리 교육의 행동계획 수립이다. 농업인 및 판매상을 대상으로 산업계 및 농촌진흥청(기술센터 등)이 강사로 나선다. 산업계는 농업인과 판매상을, 농진청은 영농교육 등을 담당하며 농협중앙회 및 유통협회는 농협 담당자와 판매관리인 등을 맡는다. 교육자료(형태)는 PPT와 각종 리후렛, 동영상, 오픈 창고(홈페이지) 등이다.
두 번째는 정부, 관계기관 등에 대한 저항성 관리 교육사업의 협업 요청이다. 관련 교육시 시간 할애는 물론 공동 교육내용의 책자 반영이다. 농업인(사용자) 및 판매관리인(판매협회+농협중앙회) 등 교육 대상별 세부 추진계획은 표와 같다.
다음으로 교육 대상별 세부 수행계획이다. 먼저 농업인 교육은 산업계와 농촌진흥청(도원 및 시군 농업기술센터)이 나서게 된다. 모두 50개사의 산업계에서는 6개권역(5개 지역)으로 나누어 분기별 교육을 실시한다. 농촌진흥청(도원 및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는 전문농업인의 ‘농업인 대학’(6월~1년)과 준전업농, 겸업농, 신규농업인 ‘농약안전관리’(1~2월), 전체 농가 ‘새해 농업인 실용교육’(1~2월), (2023년 새해 농업인 실용교육 추진일정 : '23. 12월 ~ '24. 2월), PLS(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교육('23. 4월)을 활용, 교육하게 된다.
농약판매관리인 교육은 전국작물보호제유통협회(판매회원(연간 횟수)×3000개소 이내)와 농협중앙회(중앙회 판매담당자(연간 횟수)×2000개소 이내)가 나서게 되며 시기는 2024년 1분기부터 연차별로 진행한다.
작물보호협회는 또 저항성 교육 담당자 육성 및 인프라 확보를 위한 K-IRM(Korea Integrated Resistance Management) TF 운영체계도 제시했다.[표1]
교육자료 제작 방안 및 주요 내용도 마련됐다. 협회 주관으로 농약 저항성 원인 및 관리 등 5개 항목으로 구성된 통일된 프레젠테이션(PPT_Power Point) 자료를 제작[표2]하고 농업인용(이해하기 쉬운 내용, 5분 정도)과 농약판매관리인용(전문성 제공, 10분 정도) ‘농약 저항성 관리교육’ 통합자료를 제작, 대상별로 세분화 교육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저항성 관리 정보(홍보) 제공을 위한 종류별 자료와 제공 방식도 소개됐다. 리플렛과 만화 등 소책자 등은 페이퍼와 파일(PDF)로 제공되며 시나리오(스크립트) 작성 및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 한 시청각 자료도 제작한다. 제공 채널로는 업계(각사) 홈페이지(약 30개 업체) 및 지점(30개사 × 5개지역),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 각 도원(기술센터) 홈페이지(9개 도원+기술센터 약 170개), 판매협회(3,000 개소) 및 농협중앙회(2,000 개소) 등을 활용할 계획이다.
작물보호협회는 끝으로 농촌진흥청 등과의 협업을 위한 협조사항으로 △업계의 공통 교육자료를 농업인 교육 항목에 반영해 줄 것과 △제작 공통자료를 농촌진흥청 및 관계기관에 전파 △기관별 교육담당자(강사) 집합교육(5-6월) 추진 협조 등을 요청했다.
산학연정이 일체가 되어 농약 저항성 잡기에 발 벗고 나선 가운데 과연 저항성 연구 용역기간이 종료되는 2024년을 끝으로 정부 규제를 최소화 하겠다는 정부 관리지침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실효적 방안이 마련됨으로써 관계자 모두의 해묵은 숙제를 풀어낼지 귀추가 주목된다.